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011(Print)
ISSN : 2288-1727(Online)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45 No.2 pp.15-28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4.45.2.015

A Study of Consumers’ Percep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Bo-Won Suh*
Department of Food Service & Agri-business Management, Kyung Hee Cyber University, Seoul, 130-739, Korea

† 이 연구는 2013년도 경희사이버대학교 연구비지원에 의한 결과임(KHCU-2013-4).

Corresponding author: 02-3299-8524, E-mail: bowonsuh@khcu.ac.kr
July 4, 2014 September 15, 2014 September 17, 2014

Abstract

Concern about food safety among consumers is very high at the moment, because many problems related to food safety have occurred, such as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To improve consumers’ reliability about food safety issue, government in every country have tried to set various food policy, a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tried to set consumers at ease about their diet, for instance, food traceability syste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nsumer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s the results, consumer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and the study identifies that attitude,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 intention to participation for solar salt traceability system.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서 보원*
경희사이버대학교 외식농산업경영학과

초록


    Kyunghee Cyber University

    I.서 론

    최근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온 각종 식품 관련 안전문제 발생과 이와 관련한 정부 및 관리기관 의 적절치 못한 관리 관행으로 인해 소비자의 식 품에 대한 신뢰는 계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Wendy et al., 2008). 또한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기생충 알이 들어 간 김치, 허가받지 않은 첨가물을 사용한 식품, 채소 및 과일의 잔류농약, GM Food(유전자변형 식품)의 수입 및 유통 등 각종 식품과 관련한 여 러 문제는 식품 소비자들을 불안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Mahon and Cowan, 2004; Suh, 2010). 이에 세계 각국의 정부 및 관련기관은 이 러한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식품과 관련 한 각종 규제방안을 마련하고, 식품에 대한 추적 과 역추적 체계를 확립하여 식품에서 문제가 발 생할 경우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는 식품이력추 적시스템(Food Traceability System)을 도입하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Kim and Jin, 2011). 이러한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의 도입은 식 품에 대한 생산 및 공급 사슬의 투명성과 명확성 을 높여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이라고 판단되고 있다(Wendy et al., 2008).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기본 구 조나 세부적인 시행 내용은 각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게 적용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광우병 (BSE) 발생을 시작으로 각종 식품관련 문제 발 생 후 식품안전 및 건강에 대한 전 세계인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으로써 유럽을 중심으로 이력추적시스템을 실 시하기 시작했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09). 초기 축산물 중심의 이력추적시스템이 유럽 및 미주, 아시아로 확산되었고, 점차 농산물 및 수 산물 등으로 그 품목 또한 확대되어 시행되고 있 는 추세이다. 게다가 각종 이력추적시스템을 시 행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외국에서 자국으로 수 입되는 수입 농축수산물에 대해 이력추적시스 템을 적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써 자국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안전 보장 뿐 아니라 국제 무역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방안으 로 이력추적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Kim and Jin, 2011; Lee et al., 2005).

    유럽연합(EU)에서는 GM Food(유전자변형식 품)와 함께 2002년 12월부터는 쇠고기에 대한 이력추적관리를 의무화하기 시작하였으며, 2005년부터는 EU지역 내에 유통 및 판매되는 모든 식품과 사료에 대해서도 이력추적관리를 의무적용토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Regattieri et al., 2007). 유럽지역의 이력추적관리는 국가마 다 조금씩 다르게 적용되고 있으나, 유럽전역에 서 식품을 중심으로 한 의무화 도입이 빠르게 확 산되고 있다(Lee et al., 2005). 미국의 경우 국가 차원의 식품관련 이력추적 정책을 추진하고 있 지는 않으나, 오리건 주 등 몇몇 주와 대형유통 업계, 그리고 각종 식품관련 협회를 중심으로 이 력추적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도 국가차원이 아닌 복건성 및 광동성 등 몇몇 성 (省)을 중심으로 수산물이력추적제를 실시하고 있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대만은 2004년부터 우수농산물관리제도(TGAP: Taiwan Good Agriculture Practice)라는 이름으로 농산물 및 수산물에 대한 이력추적제도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09). 가까운 일본의 경우는 2004년 쇠고기이력제를 시작으로 굴이력제, 쌀이력제, 수산물이력제 등 정부차원에서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제도를 실시하고 있다(Kim, 2005; Na, 2012).

    국내에서는 각종 식품안전사고 발생으로 하 락한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신뢰 향상을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농 ∙ 수 ∙ 축산물에 대한 이력추적 시스템을 도입 ∙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 품안전을 확립하고 문제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 며, 문제 발생 시 사후 적절한 관리를 할 수 있도 록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Kim and Jin, 2011).

    소금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식품으로서 전 세계적으로도 각종 음식을 요리하는데 항상 첨 가되는 주요 첨가물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기본 식품이라고 할 수 있는 김치와 된장 ∙ 고추 장 ∙ 간장 등의 장류식품 그리고 각종 젓갈 등에 소금이 필수적으로 사용 되는 등 소금은 매우 중 요한 식품이다. 이렇게 소금은 우리나라 사람에 게는 특히나 중요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불과 얼마 전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소금이 식품이 아닌 광물로 분류되어 왔다(Doo, 2011; Go, 2009).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는 천일염을 광물 에서 식품으로 수정하여 분류하였고, 2011년에 는 기존의‘염관리법’을 확대 개편하여‘소금 산업진흥법’으로 소금과 관련한 법률이 새롭게 제정되며 천일염 및 소금과 관련한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 ∙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Doo, 2011). 2008년 현재 국내 소금시장의 총 공 급량은 330만 톤 정도이며, 이 중 국내생산이 약 55만 톤, 수입이 약 274만 톤으로 수입소금의 비 중이 약 83%로 여전히 수입염에 매우 많은 의존 을 하고 있다(Suh, 2013).

    이렇게 소금이 식품으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정부도 소금 및 천일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천일염 산업의 육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수 입 소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이러한 수입산 천일염의 국내산으로의 둔갑판매와 투명하지 못한 유통체계 등으로 인해 천일염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는 실 정이다(MIFAFF, 2012; Suh, 2013). 정부는 이러 한 천일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천 일염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천일염 이력추적제 도를 시행하였다. 천일염 이력추적제도는 본 사 업이 시행되기 이전, 제도의 준비 및 기반구축과 제도 확산을 위한 시범사업으로서 2010년 제1차 시범사업 「2010년도 천일염이력제 도입기반 구축 및 시범사업 운영」 으로 시작되었으나, 천 일염 이력추적제도의 참여주체인 생산자와 소 비자의 인식 부족과 시행기관의 잦은 교체, 짧은 시행기간 등으로 인해 타 식품관련 이력추적제 도와 비교하여 아직까지 제대로 자리 잡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이에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점차 확산 및 의무화되고 있는 식품관련 이력추적제 시행 추 세와 국내 식품산업에서 그 중요성과 가치가 매 우 중요시되고 있는 천일염과 관련하여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참여의 도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천일염이력추적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나아가 국내 천일염 산업에 대 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 및 체계적인 발전방안 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I.이론적 배경

    1.식품이력추적제도

    소비자가 식품을 섭취하기까지는 식품의 원 재료인 농 ∙ 축 ∙ 수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판 매의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의 안전은 식품안전과 소비자의 건강 문제와 직 결되므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렇듯 식품의 유통과정의 복잡성과 식품안전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시스템에 대한 의미는 여러 학자 및 기관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 의 되 어 왔 다 (Golan et al., 2004). 이 력 추 적 (Traceability)이라는 용어는‘추적’을 의미하는 ‘Trace’와‘가능성’혹은‘능력’을 의미하는 ‘Ability’의 합성어로서 식품의 생산, 가공, 유 통, 판매의 모든 단계와 관련하여 식품에 대한 각각의 정보를 추적(Forward Traceability)하거나 역추적(Backward Traceability)할 수 있음을 의미 한다(Lee et al., 2005). ISO 9000에서는 식품이력 추적제도를 식품의 재료 및 원료의 이력, 가공 ∙ 처리의 이력, 제품 출하 후 배송 및 소재 등의 모 든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 며, CODEX의 바이오테크놀로지 유래식품 특별 위원회에서는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을 식품산업 시장에서 식품이 이동하는 모든 단계에 대한 정 확한 정보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보증하는 시스 템으로서 정의하고 있다(Chung et al., 2007; Lee et al., 2005). 유럽연합은 일반 식품법에서 식품 이력추적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데 식품이력추 적을 식품, 사료, 식품의 원재료, 가공식품 등에 대해서 생산 ∙ 가공 ∙ 유통 등 일체의 단계를 거 쳐서 추적하고 역추적하는 능력으로서 이야기 하고 있다(Chung et al., 2007).

    이렇게 식품 및 식품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중 요성이 부각되고, 각 국가 및 관련 국제기구 등 에서 식품이력추적제도에 대해 정의하면서 학 계에서도 식품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여러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 고 있다. Ziamou and Ratneshwar(2002)은 식품안 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요구가 다 양해짐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각 국가들 은 점차 농 ∙ 축산물의 생산과 관련한 이력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것이며, 앞으로 급변하 는 국제 정세에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도 이력 추적시스템의 구축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도 필 요 한 필 수 요 소 가 될 것 이 라 고 하 였 다. Sterling and Sparling(2004)는 식품이력추적시스 템의 도입에 대해 식품 소비자의 건강과 식품 안 전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식품 품질향상에도 기여하여 나아가서는 생산자 및 기업의 이익을 보장해 주는 식품과 관련한 신뢰할 수 있는 제도 라고 하였다. Wang et al.(2006)은 식품이력추적 시스템은 식품 오염의 방지, 청결한 식품 포장, 식품 재고 조절 등을 가능하게 하여 안전한 식품 을 생산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제도라 하였 으며, 이에 따라 식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소비자 와 기업의 이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하였고, 이러한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을 위해서는 포장 ∙ 운송 및 식품 품질검사 등이 기반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Regattieri et al.(2007)은 식품이력 추적시스템은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켜 소비 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이 되기 때 문에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어 기업이 식품산업시장에서 다른 기업과 경쟁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 였다. 반면, 식품이력추적시스템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논의한 학자도 있었는데, Park(2007)에 따르면 이력관리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의 경우 기업정보의 노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스템 도 입 및 새로운 체계 확립에 대한 부담이 생기고, 영업 기밀 및 기업의 노하우 등이 외부에 알려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비용이 커지고 손실이 발 생할 것이라고 하였다.

    2.국내 이력추적제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소비자의 식품에 대한 신뢰도 증대 및 식품 안전사고 예방, 그리고 식품의 안전 성 사후관리 체계 운영을 목적으로 농산물 ∙ 수 산물 ∙ 축산물의 이력추적관리시스템을 시행하 고 있다(Kim and Jin, 2011).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시스템은 우리나라의 현황에 맞는 시스템 도입을 위해 먼저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우수농산물관리제도) 시범 농가와 친환경인증농가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으 로서 2004년 시작되었다. 2004년 농산물 이력관 리시스템 시범사업 당시에는 시행농가에서 생 산하는 농산물의 생산단계 정보공개에 초점을 맞추어 이력관리시스템이 시행되었고(Lee et al., 2005), 이후 2008년 관련법 개정을 통해 농산물 품질관리법 제2조 제4호의 3에서 농산물이력추 적관리를 “농산물의 생산단계에서 판매단계까 지 각 단계의 정보를 기록관리하여 농산물의 안 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농산물을 추 적하여 원인규명 및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라고 정의하고 농산물이 력제를 법적으로 도입하여 생산, 가공, 유통, 판 매 등의 단계에 걸쳐 시행하고 있다(Farm2Table, 2012).

    쇠고기 이력제란 각각의 소 개체별로 개체식 별번호를 부여하고 소의 생산으로부터 도축 및 가공, 유통의 각 단계별 과정에서 정보를 기록하 고 관리하여 식품 안전사고 등의 문제 발생 시 기록된 정보에 따라 추적 및 역추적하여 빠르게 문제 발생의 원인을 규명하여 쇠고기 소비에 대 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제도이다 (Hwang, 2010). 특히 광우병 등 쇠고기 소비로 인한 식품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전 세계적으 로 확산된 이후 세계 각국에서도 앞다투어 쇠고 기 이력제도를 도입하여 쇠고기 소비에 대한 안 정성을 제고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에서는 2008년 12월 쇠고기 이력제를 시범사업 으로서 실시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이듬해 2009 년 유통단계로 확대 시행하였으며, 2010년 12월 ‘소 및 쇠고기 이력추적에 관한 법률’을 제정 및 공포하며 본 사업을 시행하였다(Beef Traceability, 2012).

    수산물이력제란 어장에서 식탁까지, 즉 생산 에서부터 최종소비까지 각종 수산물의 각 단계 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관리하여 이를 소비자가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자신이 소비하고 자 하는 수산물에 대해 알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써, 수산물과 관련한 식품안전사고 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하게 문제 원인 및 단계를 확인하여 피해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작되 었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10). 2005년 제 1 차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 ∙ 3차 시범사업이 시 행되었고 2008년 본 사업이 시행되기 시작하였 으며, 대상품목은 국산수산물로 제한하고 있다 (Seafood Traceability System, 2012). 최근 수입산 천일염이 국내산 천일염으로 판매되거나 공업 용 천일염이 식용 천일염으로 둔갑되어 판매되 는 등 불법 유통행위가 종종 일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산 천일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도가 하락하게 됨에 따라 천일염에 대한 소비자 의 신뢰도 제고 및 국내 천일염산업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하여 2010년 제 1차 천일염 이력추적 제 시범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이듬해 2011년 제 2차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Table 1).

    3.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선행연구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제도 혹은 이력추적 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관련한 연구는 농 산물 ∙ 쇠고기 ∙ 수산물 분야에서 몇몇 연구자들 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Jeon et al.(2007)은 농산 물 이력추적 관리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를 중심 으로 어떤 품목에 이력제시스템을 도입하였고 그 목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여기에 농산물 이력제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인식정도를 파악 하였다. Lee et al.(2005) 또한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시스템과 관련하여 제도에 대한 발전방향 제안을 위하여 참여 농가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인식정도를 조사하였다. Choi et al.(2006)는 쇠 고기 이력제의 성공적인 도입 및 안정적인 발전 을 위하여 쇠고기 이력제와 관련한 이력시스템 의 속성별 소비자 가치(Consumer Value)를 평가 하고 소비자의 지불의사와 인식정도를 조사하 였다. 이 밖에 쇠고기 이력제와 관련 정보제도가 소비자에게 미친 영향 파악 및 소비자의 인식도 파악을 위해 Hwang(2010)은 쇠고기 이력제와 한우 원산지 표시제에 대하여 소비자의 인구통 계학적 특성, 쇠고기의 안전성, 소비자 신뢰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수산물이력제와 관련 해서는 Kim(2007)이 RFID를 기반으로 수산물이 력제 시행 시 생산자 및 소비자가 인식 가능한 편익을 밝히고 이러한 편익과 수산물이력제 성 공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Kim(2010)은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정도 조사 및 문제점 파악을 통하여 앞으로 의 식품관련 이력추적제도의 안정적인 활용 및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II.연구내용 및 방법

    1.연구 모형 및 가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각 요인들 과 요인들 간의 관계가 구성되었으며, 연구모형 및 가설은 Fig. 1과 같이 제시되었다.

    앞선 연구에서 소비자의 태도, 신뢰, 사용 및 접근의 용이성은 소비자의 행동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Chen, 2007; Chung et al., 2007; Fishbein and Ajzen, 1975; Ham, 2010; Kim, 2006; Kim et al., 2009; Kim and Oh, 2007; Lee, 2005; O’Donovan and McCarthy, 2002).

    사람의 행위의도에 대한 대표적 이론 Fishbein and Ajzen(1975)의 합리적행위이론(The Theory of Reasoned Action)을 보 면 , 인 간 의 행 동 (Behavior)은 행 동 을 수 행 하 려 는 행 동 의 도 (Behavioral Intention)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행동의도는 행동의 대상에 대한 인간의 태도 (Attitude)와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에 의 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태도는 ‘특정 행동에 대한 개인의 호감이나 비호감의 평가’ 로 의미를 규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Fishbein and Ajzen, 1975; Thompson and Thompson, 1996). 이 러 한 태 도 와 행 동 의 도 와 관 련 한 연 구 로 Chen(2007)은 소비자의 태도가 유기농식품과 관 련한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만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연구 결과 소비 자의 긍정적인 태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O’Donovan and McCarthy(2002)은 육류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아일랜드 소비자를 대상 으로 조사하였고, 연구 결과는 행동 대상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행동 의도에 또한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 1이 설정되었다.

    H1:천일염이력추적제도에 대한‘태도’는 천 일염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참 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식품 및 식품 안전성에 대한‘신뢰’는 소비 자의 식품에 대한 구매 의도 및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이 앞선 여러 연구들 을 통해 밝혀졌다. Kim et al.(2009)은 미국에 대 한 신뢰도 및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신뢰 정도에 따른 국내 소비자의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용 태도 및 쇠고기 소비량 변화에 관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 및 미국 쇠고기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미국산 쇠고기 소비에 대한 긍정적 반 응은 높아지고, 부정적 반응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2005)는 쇠고기에 대한 신뢰도와 이력추적시스템의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고, 국내 소비자들은 수입산 쇠고기 혹은 육우의 한 우로의 둔갑 판매 및 쇠고기의 비위생적인 유통 과정 등의 문제로 소비자들이 한우를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 고 소비자의 쇠고기에 대한 신뢰도 제고 및 소비 증가를 위해서는 쇠고기 이력제도의 도입이 반 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비슷한 연구결과로 Kim(2006)은 쇠고기 이력제 시행의 근본적인 목 적은 쇠고기 소비에 대한 소비자 신뢰 제고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앞선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가 설 2가 설정되었다.

    H2:천일염이력추적제도에 대한‘신뢰’는 천 일염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참 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앞선 여러 연구에 따르면 각종 제도 및 서비스 의 사용용이성, 접근용이성 등‘용이성’과 관련 한 요인은 소비자의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참여 등 행동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Kim and Oh(2007)는 모바일서비 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서비스 이용에 대 한 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였 는데, 연구 결과 사용용이성 및 유용성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서비스 구매의도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Ham(2010)은 쇠고기 이력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대하여 TA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 과 사용용이성과 쇠고기 이력제도의 참여의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밝혀 내었다. 또한 Chung et al.(2007)은 생산자를 대상 으로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시스템에 대한 지속 적 사용의도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농산물 이 력추적 관리시스템에 대한 용이성, 수익성, 유용 성은 생산자의 만족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연 구가설 3이 설정되었다.

    H3:천일염이력추적제도의‘용이성’은 천일 염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참여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검토된 각종이력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참여의도와 의도에 영 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설 문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10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최종 설문지 문항의 내용 및 문항 수를 조정하였 다. 2013년 10월 1일~2013년 10월 31일까지 1개 월간 총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387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무응답치 가 많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경우를 제외한 376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설문자료의 분석에는 SPSS 18.0이 사 용되었으며, 소비자들의 천일염 이력추적제에 대한 인식 및 의도와 관련한 모든 항목을 대상으 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요인 분석이 실시되었 고, 이렇게 추출된 요인은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 도 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또한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추출된 변수들 사이 에 유의적인 영향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선형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IV.실증분석 결과

    1.응답자 특성 분석

    응답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남자가 198명(52.7%), 여자가 178명(47.3%)으로 구성되었으며, 연령은 25~34세가 100명(26.6 %)으로 가장 높은 비율 을 차지하고 있으며, 24세 이하의 응답자가 18명 (4.8%)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교 육수준은 대학(재학) 졸업이 246명(65.4%), 대학 원(재학) 졸업이 88명(23.4%), 고등학교 졸업이 42명(11.2%) 순으로 높은 수준의 학력분포를 나 타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입은 200만 원 이 하가 116명(30.9%) 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고 있었다.

    2.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Varimax 회 전 방 식 에 의 한 주 성 분 분 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각 요 인을 구성하는 항목들에 대하여 단일 차원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고유치 (eigen value) 값을 1 이상으로 제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적재치 기준을 .4로 하였다(Hair et al., 2006). 추출된 요인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 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계수(Cronbach’s Alpha) 값이 .6 이상이면 신뢰 성을 확보한 것으로 하였다(Hair et al., 2006).

    Table 3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결 과 에 따 르 면 , 3개 의 요 인 으 로 총 분 산 의 64.084%를 설명할 수 있고, 요인적재량은 0.533 에서 0.863까지로 모두 일반 수용기준을 상회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MO=.849, Bartlett’s test=3090.939 (p <. 001)로 변수선정과 모형적 합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Hair et al., 2006), 요인명은 각각‘태도(Attitude)’, ‘용 이 성 (Availability)’, 그 리 고 ‘신 뢰 (Reliability)’로 명명되었다.‘태도’요인은 천일 염 이력추적제도 제품이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 고 국가발전과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내용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이성 ‘ 요인은 이력제도 제품의 판매처 및 제품의 수, 제도 확인 방법 등과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 다. 마지막으로‘신뢰’요인은 제도를 시행하는 정부 및 제도 자체에 대한 신뢰성과 관련된 내용 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들의 신뢰성 계수는 최저 .822(신뢰), 최고 .877(용이성)로, 추출된 모든 요 인들의 신뢰성 계수가 .6을 넘어 신뢰도가 확보 되었다.

    요인분석 후 각 요인 사이의 관련성 정도 및 방 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요인들의 상관 계수 값들은 모두 양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으 며, 유의수준 p <. 001 이하에서 모두 유의하므로 이를 통해 각 요인의 관련 모형에서의 방향성과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3.연구가설의 검증

    제시된 연구모형에 대한 평가와 연구가설을 검증하고 제시된 변수들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 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천일염이 력추적제도에 대한‘태도’,‘용이성’,‘신뢰’ 와‘참여의도’사이의 관계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증된 회귀 분석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p=.000), 수 정된 R2 값은 0.478로, 이는 약 48%의 설명력에 의해 종속변수인‘참여의도’가 독립변수들에 의해 설명되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립변수 ‘태도’와‘신뢰’는 유의수준 p < .001 수준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용이성’은 유의수 준 p < .05 수준에서‘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검증 결 과를 Table 6과 같이 제시해 볼 수 있다.

    회귀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Table 6), 소비자들의 천일 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태도, 신뢰 그리고 용이 성의 모든 요인들이 그들의 천일염 이력추적제 도의 참여의도에 유의한 정( +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경제에 공헌, 좋은 품질, 산 업발전에 공헌, 건강에 도움, 식품 안전, 적절한 가격)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β=.619) 것을 알 수 있었고, 다음으로 신뢰(유통과정 확인, 품 질에 대한 신뢰, 정부에 대한 신뢰, 제도에 대한 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β=.296)으로 나타났 다.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용이성(제도 확인 방법의 종류, 판매점의 수, 판매 제품의 수, 제도 확인 방법의 사용법, 제도의 확신) 또한 소 비자의 참여의도에는 유의한 정( + )의 영향을 미치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두 가지 요인 (태도, 신뢰)과 비교하여 적은 영향(β=.11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V.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식 품관련 이력추적제 시행 추세에 따라 각종 식품 관련 이력추적제도의 의미와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 식품으로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의미를 갖는 천일염과 관련하여 천일염 이 력추적제도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인식 및 참여 의도를 파악하고 인식과 참여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태 도’,‘용이성’그리고‘신뢰’의 3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요인은 소비자 의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참여의도에 모 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즉,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전 반적인 태도, 제도 이용 및 제품 확인 방법 등에 대한 이용 용이성 그리고 제도에 대한 신뢰 정도 가 긍정적일수록 소비자는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에 참여할 의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중‘태도’는 다른 두 요인에 비해 소비자의 참여 의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시 말하면, 소비자들은 천일염 이력추적 제도를 국가 경제발전과 천일염 산업 발전에 공 헌할 수 있는 제도라고 여기고 있으며, 제도를 시 행하게 되면 좋은 품질의 안전한 소금을 섭취하 게 되므로 소비자의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 이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소 비자의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가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참여의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신뢰’또한 소비자의 천일염 이력 추적제도 참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는데, 이는 각종 수입 식품의 국내산으로의 둔갑, 불법유통 등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를 저하시키는 여러 가지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 는 현 시점에, 식품의 유통과정 및 원산지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이력추적제도는 소비자가 해당 식품을 믿고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며, 이러한 믿음이 소비자의 제도에 대한 참여 의향 을 높여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용이성’의 경우에는 천일염 이력추적 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앞선 두 가지 요인에 비해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앞선 문헌조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천 일염 이력추적제도가 짧은 시행기간 및 시행기 관의 교체 등으로 안정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여, 소비자가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제품 및 판매점 을 쉽게 접하지 못하게 되고, 제도 참여 제품인 지의 여부 또한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이러한 제도에 대한 접근성의 저하가 소비자의 제도 참 여의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소비자가 좀 더 쉽 고 편하게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및 제품을 접할 수 있게 된다면 더욱더 많은 소비자가 천일염 이 력추적제도에 참여하고 제품을 구매할 것이라 는 점을 시사한다 하겠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몇 가 지 중요한 의의와 시사점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첫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금은 인간에게,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식품 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소금 및 천일염에 대 한 소비자의 인식 등 소금을 식품으로서 실제로 구매하고 섭취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소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천일염 과 천일염 이력추적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과 의향을 파악함으로써 천일염과 소비자 사이 의 관계 연구에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종사자에게도 산업에 대한 소 비자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또한,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가 천일염 이력추 적제도에 대해 잘 알고,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며, 제도에 대해 신뢰할수록 소비자는 천일염 이력 추적제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부 등 관련 기관은 제도 시행의 주체기관을 확립하고 체계적으로 제도 를 시행하여 소비자가 제도에 대해 신뢰하고 보 다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서는 소비자가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참여 제품과 판매점을 쉽게 접하 지 못하여 제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종사자 입장에서도 제도에 보다 더 많이 참여하여 천일 염 이력추적제도가 활성화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가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제품을 좀 더 믿 고 쉽게 접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라 하겠다. 이렇듯 본 연구가 연구결과를 통 해 중요한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한 계점 또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천일염 이력추적제도 참여의도에 대한 독립변 수로서 태도, 유용성 및 신뢰 외에 보다 다양한 접근을 하지 못한 것을 들 수 있겠다. 아직까지 식품과 관련한 이력추적제도, 특히 천일염 이력 추적제도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 여 다양한 요인에 따른 소비자의 이력추적제도 에 대한 참여 의도 및 인식과 관련한 연구가 수 행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

    FBA-45-15_F1.gif

    Research Model.

    Table

    Status of Local Food Traceability System

    Source : Each system’s web-site, Rearrangement by researc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 (n=376)

    The Result of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p <.001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p<.00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05
    **p<.001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p<.05
    **p<.001

    Reference

    1. (2012) Beef Traceability “Status for Beef Traceability” , accessed December 10 2012 [available at http://cattle.mtrace.go.kr/business/businessStateList_03.do],
    2. Choi T. K , Choi S. H , Kim T. K (2006) “Measur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Traceability System Attributes of Beef”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33 (4) ; pp.869-884
    3. Chung M. R , Choe Y. C , Moon J. H , Lee C. H (2007) “Understanding Producers’Continuing Use of Food Traceability System”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48 (4) ; pp.133-160
    4. Chen M. F (2007)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8; pp.1008-1021
    5. Doo J. W (2011) “A Study of the Rationalization of Distribution Structure for Solar Salt; Focused on Shin-an Gun, Jeollanam-Do” ,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Vol.23 (4) ; pp.67-84
    6.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u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 Reading Mass Addison-Wesley,
    7. (2012) Farm2Table “Information for Traceability System and Farm2Table” , accessed December 10 2012 [available at https://www.farm2table.kr:444/jsp/info/total_farm.jsp],
    8. Go D. G (2009)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Solar Salt Industry in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1 (1) ; pp.1 -28
    9. Golan E , Krissoff B , Kuchler F (2004) “Food Traceability ? one ingredient in a safe and efficient food supply” , Amber Waves April 2-2,
    10. Hair J. F , Black W. C , Babin B. J ,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1. Ham D. C (2010) “Factor influencing on Intention to Usage of Beef Traceability System by adopting TAM model” ,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12. Hwang E. G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Labelling and the Traceability System for Hanwoo Beef on Safety and Consumer Trustworthiness”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6 (2) ; pp.270-290
    13. Jeon M. H , Jung G. H , Kim H. D (2007) “The Adoption of Traceability Systems by farmers and Its Consumers’Recogni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14 (1) ; pp.117-147
    14. Kim G. H (2005) “Report on Developing of Pork Traceability System for local environment” , Pu- Kyoung Pork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15. Kim J. B (2007) Critical Success factors of RFID-based Fisheries Traceability System: From the Perspectives of Consumers and Suppliers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38 (2) ; pp.25-40
    16. Kim J. W (2006) “A Study on the Consumer Attitudes and Market Value of Beef Traceability” ,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17. Kim M. H , Oh Y. S (2007) “Empirical Study of the Usability facet in Mobile Service Usage for Customer buying Intention”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Vol.11 (2) ; pp.237-258
    18. Kim D. J , Kim G. J , Kwon Y. J (2009) “A study on trust in US antimonic acceptance toward US Beef and Changes in the Amount of Beef Consumption”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5 (1) ; pp.254-270
    19. Kim H. I (2010) “The application plan for food safety through cognition research on Food Traceability System” ,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 Kim T. S , Jin Y. H (2011) “The effect of the food traceability system application applied with the TAM on consumer confidence”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7 (4) ; pp.74-87
    21. (2009) Korea Maritime Institute (2009): Korea Maritime Institute , Annual Report on Seafood Traceablity,
    22. (2010) Korea Maritime Institute (2010): Korea Maritime Institute , Annual Report on Seafood Traceablity,
    23. (2011) Korea Maritime Institute (2012): Korea Maritime Institute , Annual Report on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the Traceability of Solar Salt,
    24. Lee J. G (2005) “A study of Building the Traceability system to develop of Korean Beef Industry: Focused on Gyounggi-do area” , Master’s Thesis, Kyoung- Hee University,
    25. Lee C. H , Lee Y. J , Shim G. S (2005) “Understanding and Needs of Consumers, Producers Regarding Traceability of Agriproducts” , Korea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Vol.22 (1) ; pp.157-176
    26. Mahon D , Cowan C (2004) “Irish consumer perception of food safety risk in minced beef” , British Food Journal, Vol.106 (4) ; pp.301-312
    27. (20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Implementing of Sea Salt Traceability System-To prevent imported salt turned to local salt-” , Press Release,
    28. Na Y. S (2012)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Related to Beef Traceability and TAM”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8 (1) ; pp.77-90
    29. O’Donovan P , McCarthy M (2002) “Irish consumer preference for organic meat” , British Food Journal, Vol.104 (3/4/5) ; pp.353-370
    30. Park S. S (2007) “The Study on Implementation of Traceability System Applied RFID in Food Industry” , Doctoral Dissertation Kyoung-Hee University,
    31. Regattieri A , Gamberi M , Manzini R (2007) “Traceability of food products: General framework and experimental evidence” , Journal of Food Engineering, Vol.81 (2) ; pp.347-356
    32. Sterling B , Sparling D (2004) “Food Traceability in Canada RCM Technologies”,
    33. Suh B. W (2010) “A Study of Consumers’Food Choice Behavior by Comparison of Past Experience; Focus on Organic Food” , Korea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Vol.27 (1) ; pp.19-40
    34. Suh B. W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olar Salt Industry through Diagnosis of Current Situation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44 (2) ; pp.35-49
    35. (2012) Seafood Traceability System “Seafood Traceability, Examples of seafood traceability in the world” , accessed December 10 2012 [available at http://www.fishtrace.go.kr],
    36. Thompson N. J , Thompson K. E (1996) “Reasoned action theory: An application to alcohol-free beer” , Journal of Marketing Practice: Applied Marketing Science, Vol.2 (2) ; pp.35-48
    37. Wang N , Zhang N , Wang M (2006) “Wireless sensors in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Recent development and future perspective” , Computer and Electronics Agriculture, Vol.50 (1) ; pp.1-14
    38. Wendy R , Lynn J , Frewer D , Menozz G. F (2008) “Consumer perception of traceability: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he associated benefits” ,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9 (1) ; pp.452-464
    39. Ziamou P , Ratneshwar S (2002) “Promoting consumer adoption of high-technology products: Is more information always better?” ,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2 (4) ; pp.34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