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011(Print)
ISSN : 2288-1727(Online)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45 No.2 pp.39-59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4.45.2.039

An Analysis of the Course Fulfillment Change in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urriculum with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Dong-Ho Le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650-160, Korea
Corresponding author: 055-772-9165, E-mail: dhlee@gnu.ac.kr
August 22, 2014 September 15, 2014 September 17, 2014

Abstract

Recently the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make both university and every each department should have to renovate and adjust all of the educational components. The most dominant and issuable chan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is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which was certified by the KABEA(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only two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accredited recently.

Though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at Accreditation, there is few research and analysis on educational change.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research on the curricular constitution and change of the curriculum for considering the its own effect and influenc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urricular constitution, change and course fulfill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afte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analysi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hange will help develop sustainable curriculum and give more guideline for identifying the core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analysing that in this research has adopt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automated software tool which is the most dominant technique in contents analysis including the Krkwics and Pajek. The SNA is evaluated that most popular, rigorous and firm methodology for analyzing, examining and revising some concepts or objects in the context of seman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atio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 has been decreased but still the most fulfilled course. And English mediated class has been avoided though that sort of the class has been increased. In the view point of course fulfillment, it has been potential and inefficient problems that some classes that including financial related and accounting related class would not been accomplished appropriately.

The findings of a graduate depth interview which has been done about 4 years for understanding that student show that there’s some recognition gap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staff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fisheries business still somewhat low and even worse the chance of recruitment also unsteady.


경영교육인증에 따른 수산경영학 교과과정 및 학업이수의 변화 분석과 과제

이 동호*
경상대학교 수산경영학과

초록


    I.서 론

    최근 급변하는 대학내외의 사회적 환경의 변 화는 대학은 물론 개별 학과에게 혁신과 적응이 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또한 그 변화의 정도 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그 수준도 점점 강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학과통폐합, 학제 개편, 교과과정 재편, 학과명칭 변경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해당 학문과 학 과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존립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 혹은 해결책으로 나타난 결과들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위상은 전 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회구성원을 양성하는 최 고의 기구로 평가받고 있기에 학생들의 교육과 관련된 교과과정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구성 과 운영은 대학과 학과의 역량은 물론 학생들의 학업이수에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 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다소 적은 편이며, 특히 역사적인 상당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수산 경영학 분야에 있어서도 교과과정이나 학업이 수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교과과정과 학업이수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것이 제대로 계획되고 운영되지 않을 경우, 교육주체로 하여금 미래지향적 교과 과정의 구성과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라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활용하기 어렵게 만들고, 체계적인 학문의 발전과 교육의 질적인 향상의 차원에서도 상당한 비효율성을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급변하는 변화에 대한 대처를 위해 교과 과정의 변경이나 재구성은 이전의 학문적 환경 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빈번하고 광범위하게 이 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 유는 학문 자체의 특성이나 본질이 변화했다는 것보다는 교육과정과 교과과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이전에 비해서 보다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적극적 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 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변 화의 정도와 범위가 아니라 방향성이다. 즉 해당 학문의 근본적 체계와 핵심역량의 명확한 파악 을 토대로 교육체계나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가 수용되고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시적이 고 시류에 편승한 단편적인 사회적 요구나 기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전폭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학문의 근간을 위협하는 것이며, 다양한 학 문적 발전에 장애가 될 소지가 충분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특정 학문이나 학과의 교과과정에 대 한 구성과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향후 지속 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학문적 연속성을 보 장함에 있어서 유용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경상대학교와 부경대학교의 (해양)수산경 영학과가 최근 경영교육인증을 획득하였고, 이 러한 인증의 과정에서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이러한 것에 대한 분석이나 논의는 현재까지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수산경영학과 관련하 여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1987년 이전과 최근 인 2008년에 이루어졌으나, 경영학 관련 학과의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경영교육인증 이후의 관련 변화에 대한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경영교육인증은 미국의 경영인증체계를 기반 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국내 대학에서의 경영학 과 관련된 교육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도입된 것이다. 경영학 교과 및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개선하고 향상시키려는 의도와 목적으로 이러 한 제도가 수립되었으며, 다수의 대학과 학과가 이 인증에 참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 증 획득을 위한 과정은 학과의 경쟁력강화와 경 영대학의 학과와의 연결된 문제라는 점과 상대 적으로 길지 않은 기간 동안에 상당한 변화를 야 기하였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경영교육인증의 획득이 완료된 현 시점에서 이러한 변화와 현황 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수산 경영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 고 분석에 있어서는 정량적 정성적인 접근을 하 였다. 또한 이전의 연구에서 보다 확장된 접근법 을 취하여 학생들의 학업이수와 관련된 제반 현 황과 문제들을 추가적으로 논의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년간에 걸쳐서 이루어진 졸업생들과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수산경영학 교육과 관련된 제반 논제들을 정리 하도록 하였다.

    한편, 연구를 통해서 특수경영학이라 할 수 있 는 수산경영, 산업경영, 관광경영 등의 학과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경영교육 인증을 획득한 수산경영학 분야에서 발생한 변 화와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타 학과의 경영 교육인증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해양)수산경영학과가 존재하는 경상대학교와 부경대학교 중에서 경 상대학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러한 변화를 살 펴보고자 한다.

    II.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 분석방법론

    1.선행연구 검토와 비고

    교과과정의 변화와 관련된 연구들은 다양한 분야와 시기별로 이루어져 왔는데, 본질적으로 교과과정은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에서 그 원 인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크게 두 가지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먼저 신생학문 의 경우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나 사회적 요 구에 의해서 보다 빈번하고 대폭적인 교과과정 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와 역사적으로 오래 된 학문분야의 경우 지속가능한 학문의 영속성 의 확보를 위해서 교과과정을 재편하는 경우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경우 모두 핵심적인 변화의 동인은 외부환경 변화로 설명될 수 있으며, 내부적 환경 변화에 의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약한 측면을 보 이고 있다. 특히 사회과학 학문분야의 경우 그 연구의 대상과 실체가 사회적인 성격이 강한 태 생적인 특성상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수용하 는 것은 당연한 결과인 것이다. 문제는 이러한 변화의 인지와 수용에 있어서 해당 학문분야에 서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교육과 교과의 대상이 무엇이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기준을 설정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은 다수의 연구들에서 지 적되고 있다(Lee et al., 2008).

    한편, 이러한 전공별 교과과정에 대해서 최근 에 전반적으로 연구한 Lee et al.(2008)에서 보면, 경영정보학, 호텔경영학, 경영학, 문헌정보학 등 의 교과과정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수산경 영학과의 교과과정 변화와 현황에 대해서 논의 를 하고 있다. 이 연구의 시점은 경영교육인증을 획득하기 전으로, 인증준비를 위한 지침으로 연 구가 수행되었으며, 경상대학교와 부경대학교 두 대학의 학과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로 경영교육인증을 위한 교과과 정 개편과 향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지만, 학생들의 개별적인 혹은 학년 별 학업의 이수에 대한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 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고, 실제 학생들이 선호하거나 학습하고자 하 는 대상에 대한 분석도 충분히 논의가 되지 않았 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재학 중인 학생들만 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실제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체득된 경험을 가진 졸업생 들의 피드백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연구가 미흡 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경영교육인증 이후의 변화에 대한 것 을 파악하며 미약하기는 하지만 졸업생을 대상 으로 한 피드백의 부분을 통해서 교육분야에 있 어서 수산경영학의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대안의 개발과 변화의 수용에 대한 지침으로써 이번 연구가 시도되었다.

    2.연구방법론과 분석기법

    1)사회네트워크분석의 개념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은 내용분석기법으로 활용되는 도구로 관 계를 중심으로 객체와 그 관계의 의미를 발견하 고 해석하며 분석하는 기법이다. 여기서 내용분 석이라는 것은 주요 메시지의 의미 혹은 핵심 아 이 디 어 를 조 사 하 는 연 구 방 법 (Park and Leydesdorff, 2004)으로, 내용분석의 대상은 일반 적으로 문자로 작성된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를 대상으로 한다(Lee et al., 2008). 특히 사회네트 워크분석의 핵심적인 목적은 개체들 간에 연결 된 패턴을 발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DeNooy et al., 2011).

    사회네트워크분석에서는 어떤 사회적 시스템 의 구조를 구성요소들이 맺고 있는 관계의 형태 를 살펴봄으로써 파악한다. 관계의 유형은 전화 통화 거주지간 거리 공동근무와 같은 가시적인 것에서부터 정서적 지지 등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광범위하다. 사회적 시스템은 조직 과 국가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시지 또한 하나의 상징 혹은 인지시스템으로서 독자적인 사회적 시스템으로 간주된다. 이때 구성요소는 단어가 된다(Lee et al., 2012).

    사회네트워크적 시각에서 메시지의 내용분석 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핵심 단어 간 의 미론적 연관이다. 왜냐하면 메시지는 핵심 단어 들이 어떤 특정한 형태로 결합될 때 특별한 의미 를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러 한 내용분석이 의미론적 분석의 형태를 가지게 될 때 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 한 어휘와 단어 및 키워드를 처리할 수 있는 소 프트웨어가 필요하게 된다(Son, 2002).

    한편, 내용분석을 위한 전문화된 전문도구로 UCINET, STRUCTURE, Pajek, KrKwic, NetDraw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1).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은 각각 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분석의 대상이나 특 성 그리고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 등에 따 라서 선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Lee et al., 2012; Lee, 2012).

    2)사회네트워크분석의 절차와 기법

    분석의 복잡성과 기술적인 이유로 사회네트 워크분석은 대부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 하여 분석한다. 먼저 분석대상 데이터를 수집하 고, 수집된 데이터는 개별 객체들로 식별되며 이 러한 객체의 주요 단어 빈도분석을 통해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메시지 내에서 해당 주요 키워드의 매트릭스를 도 출 하 고 네 트 워 크 다 이 어 그 램 (network diagram)의 설계를 통한 의미론적 분석이 진행 된다(Lee, 2012).

    사회네트워크 분석 소프트웨어들은 대부분 네트워크 형태의 특성을 도출하고 관계성으로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는데,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서 사용되는 이러한 소프 트웨어들은 어떤 특정한 단어들이 어떤 다른 특 정한 단어들과 함께 사용됨에 따라 메시지의 의 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통한 접근법을 취하 고 있으며, 분석자의 주관을 최대한 배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영어권의 분 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어를 위 한 사회네트워크분석도구 중 하나인 KrKwic (Korean Key Words In Context: Park and Leydesdorff, 2004)은 어떤 특정한 단어들이 어떤 다른 특정한 단어들과 함께 사용됨에 따라 메시 지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함으로써 한 국어의 컴퓨터 내용분석 프로그램에 관한 관련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두고 있다. 이 소프트웨 어를 사용한 분석을 통해서 단어 간의 공출현빈 도 행렬을 생성하고 각 행렬에서 각 칸의 값은 단어들이 메시지에서 동시에 출현한 빈도의 값 을 산출하고, 이를 Pajek이나 NetDraw와 같은 네 트워크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회네트워 크분석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 공하고 있다(Lee, 2012).

    한편, 수치적인 해석을 보완하여 분석의 효율 성과 시각화가 가지는 해석상의 장점을 위해서 UCINET, Pajek, Gephi와 같은 소프트웨어들이 있는데,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는 UCINET이 상 당한 강점을 가지고 있고, Gephi의 경우 윈도우 즈 기반의 소프트웨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 만, 분석의 효율성이나 간편성에 있어서는 Pajek 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다. Pajek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자료처리가 가능하고 강력한 시각화 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Batagelj and Mrvar, 2011; Kim, 2011). 이 외에도 내용분석을 위한 의미론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는 기법이나 도구들이 상당한 수에 이르고 있지만, 본 연구에 서는 최근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KrKwic과 Pajek을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분석절차 에 따라서 각 단계별로 다양한 도구들의 장단점 을 취합하여 적용하는 방법(Lee et al., 2012; Lee, 2012)을 이용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빈도분석 에 있어서는 범용도구인 Microsoft사의 Excel, SPSS, KrKwic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행렬도출과 분석은 KrKwic을 활용하여 단어들이 메시지에 서 동시에 출현한 빈도 값을 행렬파일로 산출하 였다. 네트워크의 생성과 시각적 해석을 위해 Pajek을 이용하여 세부적인 의미론적 분석을 수 행하도록 하였다.

    III.교과과정과 학업이수에 대한 분석

    1.경영교육인증체계의 의의와 수산경영학교과의 변화

    경영교육인증은 최근 국내 대학의 경영학과 에 새로운 화두로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미국의 경영인증체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국 내 대학에서의 경영학과 관련된 교육의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 키고자 도입된 것으로, 교수/학생 비율, 교수의 강의 몰입도, 학부교육의 질 등 다양한 이슈들을 개선하고 향상시키려는 의도와 목적에서 다수 의 대학이 인증에 참여를 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경영교육 인증획득 현황 으로는 국내 29개의 대학이 인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서울 및 수도권 16개교 35개 학 과(부), 충청권 2개교 9개 학과(부), 호남권 2개 교 2개 학과(부), 영남권 9개교 18개 학과(부)가 해당 프로그램의 인증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나 있고, 7개의 국립대학교와 22개의 사립대학교가 경영교육인증을 받은 것으로 공표되어 있다 (KABEA, 2014). 수산경영학 분야에서도 경상대 학교 수산경영학과와 부경대학교 해양수산경영 학과가 동대학의 경영대학과 함께 현재 경영교 육인증을 획득한 상태이다.

    한편, 한국경영교육인증원에서 요구하는 최 소기준은 Table 1에 나타나 있듯이 경영학적 지 식으로 경영전략, 경영정보, 국제경영, 마케팅, 생산운영, 인사조직, 재무, 회계 등과 같은 다양 한 분야 중 교육기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기 본 경영교과 중에서 최소 4개의 분야에서 각각 1 과목씩 12학점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경영교 육인증 체계는 그 의의에서도 나타나 있듯이 경 영학의 필수적인 교과를 대학에서 학습하도록 하고 있기에 특수경영의 한 분야라 할 수 있는 수산경영 분야도 상당한 학제개편과 교과과정 에 대한 재편이 지금까지 이루어져왔다.

    선행연구(Lee et al., 2008)에서 보면 이러한 변 화들이 잘 설명되어 있는데, 두 대학교 간에 약 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수산경 영학 관련 학과에서 경영학분야의 교과과목이 이전에 비해서 추가로 개설되거나 학생들이 경 영학분야의 교과를 보다 많이 이수하는 방향으 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자체적 인 요구에 의한 부분도 있지만 일정부분은 외부 환경변수에 의한 것이라는 점은 명확하다.

    또한 경영교육인증이 경영학 관련 모든 학과 의 동일한 기준과 동시인증 획득을 전제로 하기 에 다소 복합적인 문제였으며 수산경영학 교과 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논의된 적이 없었 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경상대학교 수산경영 학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Fig. 1과 같이 구성 되어 있는데, Lee et al.(2008)에서 분석된 교과과 정과 6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에 비해서 상당 한 구성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영전략과 관련된 교과목이 상당한 증가를 나 타내고 있으며, 수산경영관련 교과는 다소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경 영학과 수산경영학의 교과구성비가 55:45로 구 성되었으나 현행교과에서는 59:41로 변화가 이 루어진 것이다.

    한편, 경영교육인증을 위해서 개발된 초기의 학업권장이수 모형과 비교해 보면 일부의 교과 목에서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주요 교과들로는 경영전략, 경영학원 서강독, 국제경영론, 소비자행동, 수산자원경제 론, 재무회계 등이었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원 인은 교수진의 변화로 인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 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상대학교에서 자체적으 로 추진하고 있는‘창의적 분석과 설계(Capstone Design)’가 반영된 것을 또 하나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대학의 정책과 글로벌화라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원어(영어)강의의 추가로 인한 점 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후 세부적인 분석에 서 다시 논의가 되겠지만, 이러한 원인들에 의한 결과로 경영전략, 국제경영론, 재무회계의 경우 전공필수 교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정규개설과정 을 이수하는 학생의 수는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 났으며, 영어로 강의가 이루어지는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회피성향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2.교과과정 관련 기초 통계분석

    앞서 전반적인 경영교육인증으로 인한 개괄 적인 변화와 현행 교과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언 급하였듯이 실제 학생들이 학업이수를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후 에서 설명된다.

    먼저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졸업생의 졸업사 정기준과 관련된 자료를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모두 분석에 포함시키도록 하였다. 분석기간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으로, 이 기간 동 안의 졸업생은 101명이었으며 연간 약 25명이 졸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졸업 에 소요되는 기간은 전체 평균으로 6.2년으로 분 석되었고, 중위수는 6년 최빈치는 7년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들의 군복무기간과 휴학기간이 반영되어 2년이라는 차이가 생긴 것 으로 판단된다.

    한편, 취업이 가장 큰 화두인 현 상황을 반영 하듯이 4년의 기간에 졸업하는 학생은 19.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도 군장학 생이나 학군단 학생을 제외하면 10%도 안 되는 9명의 여학생만 4년에 졸업을 한 것으로 나타났 고,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평균 기간은 여학생의 경우 4.8년, 남학생의 경우 6.6년으로 분석되었 다.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서 비교가 되어야 할 내용이나, 이러한 대학재적기간의 확대는 대부 분의 대학들에서 나타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한편, 이와는 극단적으로 조기졸업을 하는 학생들도 전체에서 4명(4.5%)으로 나타났는데, 모두가 여학생이었으며 3명이 취업한 것으로 확 인되었다. 4년 이내에 졸업하는 학생들의 표본 수가 지나치게 작다는 한계는 있지만 이러한 학 생들의 경우 자율적으로 진로와 취업에 대한 명 확한 기준과 계획을 이행한 것을 나타내는 지표 라고 판단된다.

    물론 대학의 본연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학문 의 연구, 진리의 탐구와 같은 대전제가 원론적으 로는 지켜져야 하지만, 대한민국의 현실적 상황 이 대학과 취업을 별개의 것으로 인지하지 않고 있고 또한 대학 및 학과의 중요한 평가지표로 학 생들의 취업이 큰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 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4년 혹은 6년 이상 재적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대안 이나 대책이 현실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질적인 분석에 들어가서 해당 기간 동안 교 과이수에 대한 전수분석을 시행하였는데, 해당 기간 동안 전체 졸업생들이 4년간 수강한 전체 교과목의 수는 5,148개이며, 중복을 제외한 개별 이수 교과목의 수는 총 312개로 나타났고, 전공 과목은 전공필수 12개 교과목, 전공선택 50개 교 과목 그리고 비전공과목(교양과목, 기초과목 등) 은 250개 교과목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이수 교과목 5,148개 중에서 전공필수와 전공선택 교과목의 이수과목 수는 2,520개로, 전 공교과의 이수 비율은 전체의 약 49%로 분석되 었고, 비전공(교양, 자유선택 등) 교과목의 비율 은 51%로 나타나 학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 졸업학점인 총 130학점 중에서 전공교과 66학점 이상 이수라는 조건인 약 51%의 비율과 비교해 볼 때 권장교과이수체계에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Table 2 와 같이 요약하여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평점(GPA)의 경우를 보면, 전공교과의 경우 3.38, 비전공교과의 경우 3.46 으로 나타나 학점을 학업성취도의 측정가능한 지 표 로 가 정 할 때 , t-검 정 결 과 유 의 수 준 95%(α=0.05, p-value=0.01)에서 상대적으로 전 공교과와 비전공교과에 대한 학업성취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2 는 표본집단의 전체 이수교과목 1,186개 를 전공필수, 전공선택, 기타(교양, 기초 등)로 구분하여 4년간의 비율변화를 나타내고 있는데, 약 절반가량을 비전공교과목으로 이수하고 전 공 중에서 전공필수는 16% 정도의 비율을 차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과목 이수구성의 추세를 살펴보면 2012년을 기준으로 전공필수 교과목의 비율이 14%대에서 16%대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전공선택은 2% 정도 줄어들었고 기 타교과는 2011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51% 정 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앞서도 간략하게 언급하였지만 교수진 의 변화 이외에도 경영교육인증을 위해서 전략 과 국제경영 부분에 대한 필수과목이 기존에 비 해서 증가하였다는 점에 기인한다. 현재 경상대 학교 수산경영학과의 경우에는 한국경영교육인 증원에서 요구하고 있는 조건을 훨씬 상회하고 있으므로 향후 교과과정 개편에서는 수산경영 학분야에 대한 특성화를 위한 교과과정의 구성 과 학업이수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고 판단된다. 한편, 기초과목과 교양과목을 제외 한 학과의 전공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서 이후에서는 전공필수와 선택교과에 대해서 논 의하도록 한다.

    3.전공교과과정 관련 분석

    1)세부전공별 교과이수 빈도분석

    Fig. 3은 전공교과과목의 구성을 한국경영교 육인증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범주별로 4년간 추 세를 분석한 것으로, 경영학관련 교과들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수산경영학 관련 교과의 경우, 현재 개설된 교과의 비율은 40%선보다 다소 낮 은 평균 37.9%로 나타나 학생들의 이수비율에 서 점진적으로 하향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앞서 언급한 경영전략, 국 제경영학 분야의 신규과목의 개설로 인한 것도 있겠지만 수산경영학분야 학문에 대한 학생들 의 선호도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 나 여전히 단일 범주로는 경영정보, 인사관리 등 의 세부 전공에 비해서는 가장 많이 이수되는 전 공교과로 분석되었으며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 수하는 세부 전공으로 나타났다.

    경영학관련 교과 중에서는 마케팅, 경영정보, 재무관리의 순서로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학업 이수 분석결과 나타났는데, 특히 마케팅 관련 교 과목의 경우에는 전체 표본대상인 학생들이 평 균 10% 이상을 꾸준히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한편, 경영교육인증을 위해서 개발된 Fig. 1의 학업이수권장모형을 학생들이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가는 또 다른 논제가 될 수 있는데, 예를 들 어 경제학 원론을 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시 경제학이나 거시경제학을 먼저 수강하는 것은 학업의 효율성은 물론 지식전달체계의 논리적 인 구성을 상당히 저해할 소지가 있는 것이기 때 문이다. 따라서 이후에서는 이러한 학업이수의 관계를 전공교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학업이수준수 현황 분석

    Table 3은 전공필수와 전공선택 과목만을 대 상으로 학생들이 이수한 학기로 피벗테이블을 작성한 것이다. 참고로 계절학기의 경우에는 이 수한 학생이 많지 않아서 하계계절학기는 1학기 로, 동계계절학기는 2학기로 분류하여 분석을 하 였다. 또한 휴학과 4년 이상 재학 중인 학생이 일 부 존재하여 4학기를 초과하는 경우는 Table 3에 나타나 있듯이 5학기 이상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그리고 영문으로 표기된 교과의 국문명칭은 Appendix에 그 내용을 상세하게 표기하였다.

    Table 3에서 음영으로 처리된 부분은 해당 교 과목이 공식적으로 개설되는 학기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e-비즈니스’교과의 경우, 2학년 2학기에 개설되어 전체 학생들 중에 서 76.1% 정도가 정규이수과정을 준수하고 있 다는 것을 의미하며,‘경영전략’교과의 경우, 3학년 2학기에 정식 개설되고 이수를 권장하고 있지만 학생들은 2학년과 4학년에 대부분 해당 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전체 준수비율의 값을 보면 일부 교과목의 경 우 그 비율이 상당히 낮은 것을 알 수 있는데, 대 표적으로 경영학원서강독, 국제경영사례연구, 소비자행동론, 수산자원경제학, 재무회계가 이 러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일부 교과목의 경우, 학생들이 개설지정 학년도가 아닌 시점에서 해 당과목의 이수를 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학업이수에 있어서 문제의 소지 가 될 수 있다.

    한편, Fig. 4는 권장되고 있는 학업이수모형과 실제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학생들의 학업이수 결과를 시각화하여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Fig. 4에서 나타난 전공교과이수에 있어서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교과목의 개설학년에 따른 학생들 이 이수가 일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경영학원서강독’의 경우에는 영어라는 부담감과 전공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다소 낮다는 점에서 2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되었 으나 대부분 4학년 이상의 학생들이 주로 이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국제경영론’의 경 우도 이와 동일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러한 현상과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교과목으로는‘소비자행동론’,‘수산자 원경제학’,‘양식경영론’이 개설학년에 비해 낮은 학년에서 절반정도가 이수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선행과목과의 관련성과 학업이수 의 체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권장이수교 과과정의 목적으로 본다면, 전자의 경우에는 크 게 문제가 될 것이 없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다소 문제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예를 들어‘소비자행동론’의 경우에는 마케 팅 관련 교과로 사전에‘마케팅관리론’과 같은 기본적인 필수교과와 이와 유사한 교과목의 선 행이수를 통해서 심화학습을 유도하는 특성이 있기에 일부 수강생의 경우 교과의 내용을 완벽 하게 이해하고 숙지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졸업생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3학년 에 전체교과의 이수 집중이 높은 것은 4학년 개 설과목을 4학년에 수강하는 것이 취업과 관련된 준비를 하는데 다소 시간적인 부담으로 작용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경남인근 지역의 출 신학생이 아닌 부산이나 경북 등 타 지역의 학생 의 경우에는 이러한 4학년 교과의 사전이수 혹 은 4학년 이후에 학점이수를 적게 하는 등의 특 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 한 것 역시 취업과 관련된 준비와 무관하지 않음 을 알 수 있다.

    4.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업이수 분석

    전체 교과의 사회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Fig. 5는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수강한 상위 20 개의 교과목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Fig. 4에서 상법(CLAW)의 빈도가 149로 나온 것은 상법, 상 법1, 상법2를 하나의 교과목으로 통합하여 분석 한 것에 기인한다. 또한 101명의 졸업생의 전공 필수교과의 이수 합이 101이 안 되는 것은 당 기 간 동안의 일부 교과목개편에 따라 발생한 변동 이 반영된 것이다. 한편, 여기서 전공필수는 의 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라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당연하나 전공선택 과목의 경우만을 본다면,‘e비즈니스(EBIZ)’,‘어촌실 태조사(FFR)’,‘투자론(INV)’,‘거시경제학 (MAE)’,‘유통정보론(DMSY)’,‘경영조직론 (BMO)’,‘수산업사(FHST)’,‘유통론(DST)’ 의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수빈도를 나타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빈도분석 결과를 기초로 전체 표본집 단의 1965개 전공필수와 선택교과에 대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것이 다음의 Fig. 6과 같이 도출되었다. 네트워크의 밀집도(Density)는 0.893으로, 대부분의 교과들이 Fig. 6에 나타난 것처럼 중앙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는 형태를 나 타내고 있다. Fig. 6은 전체 전공필수와 선택을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서 시각화한 결과로, 각 객체들 간 연결선의 수와 두께가 관계의 강도 를 의미하고 있다. 즉 관계가 빈번하여 상호간 연결의 선의 수가 많고 두께가 두꺼운 교과들은 학생들이 그 관계를 가진 교과들을 공통으로 이 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Fig. 6에서 영역 A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수강을 하고 있는 교과를 나타내고, 영역 B의 경우에는 밀도가 높은 집단과는 다소 떨어져 있지만 수산분야에서의 과목들 간의 공 통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수산물유통과정책(FPOL), 수산물마케팅(FMK)과 같은 교과들이 속해 있다.

    영역 C와 C'는 신규과목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 집단으로, 다른 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이 상 대적으로 산발적으로 수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부분이다. 영역 D의 경우에는 다소 특이 한 집단으로 볼 수 있는데, 여기에 속한 과목들 의 경우, 대부분 영어로 강의가 이루어지거나 영 어를 중심으로 하는 교과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 다. 특히 학생들이 다수의 교과를 이 영역에서 선택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 로는 영역 D 내의 교과목들 간의 연결 관계가 거 의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원인은 이후 심층면접에서 다시 언급이 되겠지만 영어 라는 부담이 상당히 크게 작용을 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전공선택 교과의 사회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Fig. 7은 전공선택 교과들만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을 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 는 것으로, 전공필수는 선택의 대상이 아니기에 이러한 분석이 실제 학생들이 선별적으로 선호 하거나 학업이수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교 과를 나타내는 직관적인 지표일 수 있기 때문이 다. Fig. 7에서 보면, 영역 A는 학생들이 전공선 택 교과 중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으며 교차이수 가 빈번한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범주에 속한 교과로는 E-비즈니스(Ebiz), 수산업사 (Fsht), 양식경영실무(Aqmp), 어촌실태조사(Ffr), 거시경제학(Mae), 유통정보론(Dmsy), 경영조직 론(Bmo) 등 특정 전공에 편중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영역 B의 경우를 보면, 수산물유통과정 책(Fpol), 수산물마케팅(Fmk), 해상보험(Oin) 등 수산분야 특히 마케팅분야가 선별적으로 특정 의 학생들에게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 역 C는 앞서 전체 교과의 분석에도 나타났듯이 외국어(영어)강의 혹은 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강의가 하나의 집단으로 나타났다.

    Fig. 7에서도 쉽게 알 수 있듯이 수산분야 혹은 수산마케팅 분야를 선호하는 학생들의 경우, 영 어강의를 다소 선호하지 않고 있는 특성을 나타 내고 있다. 그리고 그림에서 따로 영역이 구분되 지는 않았지만 가장 바깥 축에 위치하고 있는 현 장실습(Ftr), 비즈니스모델과창업론(Bmsb), 지 속가능경영론(Susm) 등은 표본에서 5명 이하의 학생들이 이수한 것으로 나타나 예외적인 것으 로 간주된다.

    주요 전공선택 교과의 사회네트워크 시각 화 분석

    Fig. 8은 앞서 분석한 전공선택 교과 중에서 최 소한 10명 이상이 공통적으로 이수한 과목들만 을 대상으로 분석을 한 결과이다. 지면상의 제약 으로 앞서의 분석에서 집중된 부분을 확대하여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밀도(Density)와 관계구조가 다소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영역 A는 현재 대부분이 폐강된 교과 로 마케팅원론(Mkp), 경영통계(Msat), 해양법 (Oml)이 포함되어 있다. 마케팅원론의 경우에는 학과의 자체적 교과조정으로 마케팅관리론으로 통합 ∙ 변경되었고, 경영통계의 경우, 경영교육 인증 심사단의 교과수정 제안으로 경영전략시 뮬레이션(Bssg)으로 변경되었으며, 해양법의 경 우에는 담당 교수의 퇴임으로 신규과목으로 대 체되어 분석에서 독자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역 B를 살펴보면 원가회계(Cac), 세무 회계(Taxc)의 두 과목을 중심으로 하나의 축으 로 나타났는데, 특히 이 집단에 동일한 그룹으로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관계빈도가 높은 교과로 는 투자론(Inv)이 위치하고 있어서 주로 회계 및 재무관리 교과목을 선호하는 학생들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분석한 전공선택 교과 전체에서도 특징 이 나타났지만 영역 C의 경우에는 모두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점이 그림에서 한 그룹으로 나 타났다. 경영학원서강독(Erm), 경영분석과종합 설계(Bacd), 경영전략시뮬레이션(Bssg)의 교과 는 특정의 학생들이 집중적으로 선호하지만 이 영역을 모두 이수한 학생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학생들의 학업 이수의 특징이나 교과과정의 전반적인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학과 수산경영 학 관련 교과목의 비율이 경영교육인증의 틀로 조정되면서 상대적으로 수산경영학 관련 교과목 의 구성이 낮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단일 세부전 공으로는 가장 높은 이수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교과목 수에서도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영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원어강의 의 비율이 다소 높아지고 있으나, 학생들의 적극 적인 참여와 이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개 설 학년과 학기가 아닌 고학년을 중심으로 수강 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산경영학 관련과목을 제외하고 세부 전공 중에서 마케팅관련 과목의 선호도와 학생 들의 이수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유통과 정책’과 같은 수산경영과 마케 팅이 복합적인 교과까지 포함한다면 약 14% 정 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영어강의와 유사한 특성으로 일부의 교 과들은 해당 교과의 정해진 개설학년에 학생들 이 이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 학년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장 많은 학점을 취 득하고 4학년 혹은 졸업연도에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거나 전공강의를 일부 수강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나 학년별로 집중현상이 일부 발견되 었다. 이것은 앞서 간략히 언급하였지만 취업이 라는 현실적 문제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세부전공의 집중이수가 상대적으 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원가회 계’,‘세무회계’교과의 경우 회계학이라는 세 부전공으로 모두 이수할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시 너지효과를 대부분의 학생들이 얻지 못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은 재무관리 관련 교과목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상대 적으로 마케팅의 경우에는 세부전공 이수의 집 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들과 관련된 것으로는 먼저 대부분 의 학생들이 4년의 정규 기간에 졸업을 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군입대 기간 을 감안한 6년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대부분 그 이상 재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와 는 반대로 일부의 학생들이긴 하지만 조기졸업 을 통해서 빠른 취업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 는 학생들도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V.심층면접을 통한 교과과정 및 학업이수 의 논제 검토

    앞서 정량적인 학업이수와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경영교육인증과 관련된 다양한 변화들을 논의하였다. 여기에서는 재학생 및 졸 업생들과의 심층 면담결과를 중심으로 정성적 이고 기술적인 논의를 다룬다. 심층 면접은 약 3 년간에 걸쳐서 이루어진‘소모둠’,‘멘토링’, ‘꿈,미래,개척’이라는 공식/비공식적인 학생 들과의 면담을 통해서 기록되고 메모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일부 졸업생과는 페 이스북과 같은 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서 피드백을 얻도록 하였다.

    주요 심층면접 내용은 학업, 진로, 생활의 부 분에 대해서 이루어졌으며, 이 중에서 학업 부분 은 전공에 대한 이해와 질의, 교과목 이수에 대 한 부분, 전공선택과 필수 교과목에 대한 전반적 질의와 학업이수에 있어서의 교과목에 대한 내 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진로 부분에서는 향 후 진로의 결정과 이와 연관된 학업이수에 대한 질의, 해당 진로와 관련된 교과목의 이수에 대한 조언과 질의, 진로결정을 위한 다양한 수단과 방 법에 대한 질의와 조언, 현재 이수 완료한 교과 목과 개별 학생의 진로와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 와 피드백 등으로 정리가 되었다.

    학생들의 의견은 상당히 다양하게 제시가 되 었지만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사지원 시 수산경영학이라는 특수성에 대해서 경영학 전공자와의 보이지 않는 차별에 대한 점이었다. H그룹의 금융계열회사에 취직 한 A학생의 경우나 S은행에 취직한 B학생의 경 우 면접관이‘수산경영학’이라는 것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질문을 가 장 먼저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교육인증을 통 해서 수산경영학 분야도 동일한 인증을 받았음 에도 대외적으로는 여전히 인지도가 낮은 것으 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수산관련 일자리 자체와 그와 관련 된 정보의 부족 그리고 일자리의 급여수준이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일부 졸업생 에게서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다. 이것은 학생에 게도 책임이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대기업이 나 다른 산업의 기업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 련 취업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는 현실을 나타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산관련 기업 인 T사에 취직한 학생의 경우에는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을 피력하였으며, 수산기업 에 취직을 하였다가 이직한 C학생의 경우에도 일자리에 대한 급여 및 업무의 만족도가 낮은 것 을 가장 큰 이유로 언급하였다.

    한편, 수협에 취직을 원하는 몇몇 학생들의 경 우 비정기적인 채용으로 인한 위험을 언급하였 다. 일부 단위 수협의 경우에는 특정 연도에는 신입사원을 전혀 채용하지 않다가 다음해에 다 수를 채용하는 사례도 있어서 학생들이 취업을 위한 계획이나 진로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다소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은 수산경영학분야의 과목의 비중이 높아야 한 다는 의견과 경영학 관련 과목의 비중이 높아야 한다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수 산경영학과라는 전제하에 경영학 관련 핵심과 목들은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공통적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V.결론과 제언

    최근 국내 경영학과 관련된 학과와 대학에서 는 경영교육인증이 새로운 이슈가 되어왔으며, 이에 다수의 대학들이 이러한 경영교육인증을 획득하였거나 획득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수산경영학과가 있는 경상대 학교와 부경대학교는 이미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경영교육인증 획득을 완 료한 상태이다.

    그러나 특수경영학이라 할 수 있는 수산경영 학의 토대에서 경영학의 핵심교과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교과과정 개편과 재편에 대한 그 효과 는 아직 검증된 바가 없으며 객관적으로 증명하 기도 상당히 어렵다. 하지만 경영교육인증으로 인한 영향은 두 대학의 교과과정과 학생들에게 학업이수 패러다임의 변화를 발생시킨 것은 부 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연구에서는 경영인증획득을 완료한 수산경영 학과의 이러한 변화를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 학 수산경영학과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이 를 통해서 교과과정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학업이 수와 관련된 제반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수산 경영학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침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서 수산경영학 교과가 세부전공 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 이 이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다소 줄어들고 있 으며, 경영학 분야에서는 학생들이 선호하거나 이수의 비율이 높은 교과목도 마케팅 분야인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교육인증과 학생들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학업이수를 위해서 자체적 으로 개발된 학업이수모형의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가에 대한 검토에서는 전반적으로는 대부 분의 교과목이 정해진 학년과 학기에 대부분 이 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어를 통해서 강의가 이루어지는 교과목 그리고 재무관리 분야나 회 계분야와 같은 교과들은 선행관계나 교과의 집 중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접근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3학년에 상대적으로 집중적인 학업이수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심층면 접을 통해서도 학생들이 4학년에 전공과목의 이 수를 취업준비를 위한 시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서 다소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 분의 학생들이 재적기간 4년을 정확하게 지켜서 졸업을 하는 경우는 상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 고 졸업에 소요되는 기간이 9학기 혹은 10학기 가 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경영교육인증은 3년 혹은 5년의 한정된 인증으로 당 기간이 지나면 다시 인증을 받아야 하는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산경영학 과 혹은 해양수산경영학과라는 특수 경영학의 분야를 차별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반적인 경 영학의 핵심교과를 어떻게 적절하게 조화시킬 것인가는 이후에도 지속적인 문제로 남게 될 것 이다.

    끝으로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와 차별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제안을 하 고자 한다. 첫째, 해양수산분야 전문가를 활용한 특강 교과목의 개발과 상설운영화가 필요하다. 특히 4학년들에게 실무적인 간접경험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현업의 전문가를 초빙하거나 겸임교 수로 임명하여 교과이수에 대한 부담은 줄이면 서 효과적인 학업이수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목표 중심의 맞춤형 학업이수모형 의 재정립과 지속적인 교과과정 운영에 대한 피 드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취업과 관련한 진로 중심의 교육과정 수용 및 지속적인 개선 필요하 며, 수산경영학 분야에 후진양성을 위해서도 특 화된 수산경영학 교육의 틀이 요구된다고 할 것 이다.

    셋째, 경영교육인증 체제 하에서의 특수성과 일반성의 조화를 통한 운영의 효율성이 요구된 다. 현 교과과정이 기존에 비해서 수산경영학 분 야의 비중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이는 경영교육 인증이 가장 큰 원인이었기에 요구되는 기준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수산경영학 분야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졸업생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 과 졸업생 멘토링 시스템의 상설화가 필요하다. 재학생뿐만 아니라 미취업 졸업생에게는 지속 적인 취업을 위한 사후 교육 혹은 프로그램의 개 발이 필요할 것이며, 취업을 한 졸업생들은 후배 들을 위한 멘토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공식 혹은 비공식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한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먼저 개인정보와 정보보호의 이유로 경상대학교와 부경대학교 모두를 연구에 포함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다. 현재 수산경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과가 단 2개임을 감안한다면 전수조사가 가장 바람직 하나 정보획득의 어려움과 제도적 제약으로 인 해 이러한 부분이 추가 연구되어야 할 사안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들 학과와의 차별성을 가지면 서 독자적인 교과과정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것 도 주요한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향 후 과제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 학부라는 고등교육의 전후 단계인 수산관련 고등학교와 대학원의 교과과정에 대 한 연계분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은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판 단되며, 이를 통해서 수산경영학의 명확한 정체 성과 대내외적 지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 각한다.

    Figure

    FBA-45-39_F1.gif

    Current Curriculum of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BA-45-39_F2.gif

    Curricular Constitution Ratio Trend of Samples.

    FBA-45-39_F3.gif

    Categorized Curricular Constitution Ratio Trend of Samples.

    FBA-45-39_F4.gif

    Recommended and Actual Course Fulfillment Comparison of Sample Group.

    FBA-45-39_F5.gif

    Most Selected Subjects in Current Curriculum of Sample Group.

    FBA-45-39_F6.gif

    Social Network Analysis of All Fulfilled Course of Sample Group.

    FBA-45-39_F7.gif

    Social Network Analysis of Elective Subjects of Sample Group.

    FBA-45-39_F8.gif

    Social Network Analysis of Elective Subjects(Over 10) of Sample Group.

    Table

    Framework of Korean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Source : KABEA(2014) and Lee et al.(2008) edited.

    Curriculum Frequency & Ratio Analysis

    Course Fulfillment & Compliance Frequency Analysis of Samples

    Reference

    1. Batagelj V , Mrvar A (2011) Pajek Program for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Large Networks: Reference Manual , Ljubljana,
    2. DeNooy W , Mrvar A , Batagelj V (2011) Exploratory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Paje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Kim Y. 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 Pakyoungsa,
    4. Lee D. H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Jisimdo based on Mass Media Article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Journal of Korean Island, Vol.24 (4) ; pp.87-115
    5. Lee D. H , Choi M. G , Song J. H (2008) “An Analysis of Curricular Constitution and Change in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39 (3) ; pp.139-179
    6. Lee D. H , Kim W. S , Moon S. J , Jung L. S (2012)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 Research-Based on Meta and Bibliometric Data Analysis” , Korean Academy of Business Historian, Vol.27 (3) ; pp.97-117
    7.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5) ; pp.1377-1387
    8. Son D. W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 Kyoungmunsa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