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1011(Print)
ISSN : 2288-1727(Online)
ISSN : 2288-1727(Online)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46 No.3 pp.51-61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5.46.3.051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5.46.3.051
2 November 2015
30 November 2015
2 December 20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ood safety approach in the Eco-label Chain of Custody(CoC) which is only focused to traceability. Because, consumers want to be assured the certified seafood comes from sustainable fishery as well as hygienic. In order to this approach, we u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as belows. We first understood the CoC criteria for using pair-wise comparison and analyzed and selected each Eco-label certifications and standards. Second, we carried out a survey to the targeted standard Marine Stewardship Council(MSC) CoC auditors all over the world and analyzed the priorities of food safety approach to 4 principles and 12 criteria belong the MSC CoC Standard. As the results, we found out that‘Management System’has the highest priority in the principles and ‘.Documentation’and‘Keeping Record’are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this approach. In addition, ‘.Training’and‘Identification’are also higher priority of criteria. So, we suggested food safety approach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se criteria in conclusion based on discussion with specialist in this field.
수산물 Eco-label CoC에 대한 식품안전 접근방안 연구 : AHP 기법을 통한 요구사항 분석을 중심으로
초록
Ⅰ. 서 론
수산물(Seafood)은 아주 오랜 세월 동안 인류 의 단백질 및 영양소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FAO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수산물 섭취량은 18.9kg, 연간 생산량은 158백만 톤에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 소득의 증가 및 웰 빙 트렌드 등으로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 다(GFTC, 2014).
하지만 수산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생 산량 또한 증가해 어구 및 어법의 발달과 더불어 무분별한 남획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곧 어업 자원의 감소로 이어지면서 해양생태계를 위협 하게 되었다(FAO, 2012).
이렇게 수산물 공급에 대한 위협이 대두되면 서 산업계와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어업에 대 한 필요성을 동시에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방 안 으 로 1996년 유니 레버 와 WWF(World Wildlife Fund)에 의해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 인증제도가 등장하게 되었다(Wessells et al., 2001). 이후 현재까지 약 17개의 프로그램 및 인증제도(이하 인증제도)가 추가로 등장하였 다(WWF, 2009).
지속가능한 수산물 인증(이하 Eco-label)은 지 속가능한 어업을 통해 생산된 제품에만 부착하 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구매 시 지속가능한 어업 및 식량 공급을 보장하 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Wessells et al., 2001).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Eco-label 제품에 대 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이는 유럽을 포함한 선진 국에만 해당되는 추세가 아니다(Fearne et al. 2002; Seafood Choices Alliance, 2008). 2012년 중 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Eco-label 선호도 조사를 살펴보면 구매시 수산물의 원료에 대한 정보를 중요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Eco-label을 통한 사회적 이익을 위해 비용을 더 지불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낼 정도로 인식이 높 아졌다(Xu et al., 2012).
한편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으며, 지속가능성 뿐 만 아니라, 가격, 식품안전 등에 대한 것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는 추세이다(Sterling and Chiasson, 2014). 이에 대응하는 대부분의 식품가공회사 및 유통회사는 식품안전에 대한 보장을 GMP(Good manufacture practice),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FSMS(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등을 통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각 표준 규격에 따른 인증 마크를 부착함 으로써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소비자는 이러한 인증마크에 대해 높은 신뢰 를 가지고 있으며, 인증받은 제품은 식품안전성 까지도 보장받고 있다고 믿고 있다(Grunert et al., 2014). 신뢰는 제품구매의사결정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인증제품의 유통 확산 을 통해 인증제도의 활성화로 이어면서 인증제 도의 근본적 취지를 충족시키게 되는 선순환 구 조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Eco-label 인증 제도를 살펴보면 결정적 인 한계가 있는데, 그것은 수산물이 취급이 까다 롭고 쉽게 상할 수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식품안 전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다. 특히 Eco-label의 유통단계 인증인 CoC(Chain of custody)에서는 원 료에 대한 추적성은 요구사항에서 중요하게 다 루어지고 있으나, 식품안전에 대한 내용은 부재 하다(FAO, 2009). 따라서 만약 Eco-label을 획득 한 제품이 식품 안전적 결함이 대거 발생된다면, 인증제도 성격상 식품안전에 대한 책임이 없다 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는 소비 자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을 지울 수 없을 것이다.
결국 Eco-label의 근본적인 취지인 해양생태계 보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가 능성 뿐만 아니라 식품안전성에 대한 접근이 필 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co-label 인증어장에서 수확된 제품이 유통과정에서 식품안전성을 보장받기 위해서 어떠한 요소가 식품 안전적 측면에 서 중요한지 파악하기 위하여 CoC 심사원을 대 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이 적용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우선 순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가들과 함께 결과에 대해 토론하여 개선방법을 도출하였다.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Eco-label이란 제품이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 한 세부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음을 나타 내는 인증마크이다(WWF, 2012). 다른 우수한 제품보다 환경적인 영향을 적게 미치는 제품에 부착함으로써 경쟁력을 가진다(Deere, 1999).
Eco-label의 목적은 구매자들에게 환경적, 생 태학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지닌 제품이라는 정 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통과정에서의 투명성 을 향상시킴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지속가능한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Grunert et al., 2014). 또한 소비자 관심은 구매활동과 직 접적으로 관련되어져 제품 구매 시 환경보호와 관련된 속성에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성향을 보 이고 있으며(Kang et al, 2013), 이것은 소비자들 의 구매 의사 결정의 기준으로 이어진다. 수산물 Eco-label은 1996년 유니레버와 WWF 에 의해 MSC가 최초이며, 2009년 WWF 자료에 의하면 현재 대표적인 인증제도는 아래의 Table 1과 같이 약 17가지에 이른다. 인증제도를 통해 관리되는 어업활동에서 생 산된 제품은 수산물 유통의 국제화에 따라 여러 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게 된다(Kraisintu and Zhang, 2011). 유통과정에서 제품들의 추적성의 보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 공급사슬에서 Ecolabel 제품을 정확히 유통시키고 있음을 보장하 기 위해 CoC가 등장하였다(William and C.P.M., CEO, 2009).
Chain of Custody(CoC)를 한국어로 번역하면 관리의 연속성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시장으로 유통되는 Eco-label 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이 인증받은 어장에서 수확된 제품과 일치함을 보 장하기 위해 설계된 제도이다(WWF, 2012). CoC 인증을 통해 지속가능한 어장에서 수확된 제품 의 생산, 유통, 가공, 판매 등의 전 과정에서 추적 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는 Fig. 1과 같은 프로세 스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소비자의 구매 의사는 Eco-label 인증제도의 확산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본래의 취지를 지속 시키는 데에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지속가능성 혹은 환경 적 책임 가진 제품을 구매하기를 원하는 소비자 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구매한다. Eco-label과 같은 인증마크 가 확산됨에 따라 시장에 소비자의 요구가 늘어 나게 되고, Eco-label이 부착된 제품에 대한 요구 및 소비자들의 증가는 유통업자들로 하여금 지 속가능한 제품의 유통을 촉진시킨다. 또한 이렇 게 유통업자에 의해 취득된 인증제품의 유통량 증가는 어업인들에게 더 많은 수익을 주고 그들 로 하여금 지속가능한 어장 확보를 위한 활동을 촉진시킨다(Alexis and Thomas, 2014).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소비자의 구매 의 사 결정에 지속가능성 및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 를 담고 있는 인증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 다(GFTC, 2014). 이에 따라 국내외의 대형마트 및 해외 구매자들이 납품하는 가공업체 및 유통 업체로 하여금 인증취득을 요구하고 있으며, 대 부분의 업체들이 식품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인증을 동시다발적으로 취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안전의 보장은 기본적으로 품질과 안전을 함께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식품 안전규격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각 규격들은 모두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 다(Ropkins and Beck, 2000). 식품안전성을 높이 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식품기업에서도 특히 국제규격(global standard)에 따라 경영관리를 하 고 있다(Færgemand, 2008).
국제식품안전규격(Global food safety standard) 의 구성은 규격끼리 서로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ISO22000, SQF(Safe Quality Foods program), BRC Food(British Retail Consortium Food), IFS(International Featured Standard), FSSC22000(Food Safety System Certification 22000) 등으로 대표되는 식품안전경영시스템 (FSMS)규 격 은 HACCP, 품 질 경 영 시 스 템 (QMS:Quality Management System), GMP로 종합 적으로 구성되어 있다(Ropkins and Beck, 2000). 특히 GMP는 시설의 위생성 및 기본 법규 준수 적인 측면에 있어서 선행적이고 필수적인 요건 이라고 볼 수 있고(Bernhardt and Rasschke, 1998), HACCP은 위생관리포인트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Hoffmann, 2000).
Eco-label에서도 식품안전 및 품질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지만(Jaffry et al., 2004; Wang et al., 2013), Table 2에서 제시된 선행연구들에서 알 수 있듯이 유통단계에서도 CoC 인증을 통해 식 품안전에 대한 접근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산물 Eco-label의 CoC에서 는 앞서 언급했듯이 제품 추적성에 대해서는 강 도 높게 관리하고 있지만 식품안전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별도로 요구사항에서 다루고 있지 않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co-label 규격의 요구 사항에서 식품 안전적 접근성이 높은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전 세계 CoC 심사원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AHP 기법을 통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AHP 기법을 통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Ⅲ. AHP를 활용한 식품 안전적 접근
1. 연구방법 및 비교요소 계층화
본 연구를 위해 1970년대 초반 Saaty에 의하여 개발된 AHP를 활용하였다. AHP는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평가기준 간의 쌍대 비교(pair-wise comparison)를 통해 중요도 또는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방법론으로 도출된 가중치 를 바탕으로 운영지표를 개발하거나 운영전략도 구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Seo et al., 2014). 이 방법론을 바탕으로 Table 3과 같이 4단계 연구단 계를 설계하였다.
AHP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쌍대비교를 실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Eco-label의 규격 요구사항을 쌍대비교 요소로 정하였다. 연구모 델로 적용할 Eco-label 규격을 선정하기 위해 2015년 기준으로 약 5,000개 정도로 가장 많은 인 증 수를 가지고 있고(MSC, 2015), Tabel 4에서 확 인할 수 있듯이 수산물 Eco-label의 우수인증제도들에 대해 실시한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있는 MSC CoC 인증을 선정하였다. MSC CoC는 총 4개의 Principle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래 하위 Criteria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내용은 다음과 같다.
1) Management system
경영시스템은 조직이 규격의 요구사항에 맞도 록 시스템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뜻하며, 조직의 규모, 공정의 복잡도, 인원의 적격성 등에 대하여 문서화(Documentation)하는 것을 요구한다. 또한 관련 활동에 대한 기록(Keeping Records)은 3년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규격에 대한 운영 책임을 가진 인원은 관련 교육(Training)을 받아야 한다. 가공 및 유통을 담당하는 하청업체가 있을 경우 에는 인증받은 곳인지 아니면 요구사항에 맞도 록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2) Traceability system
추적성 시스템은 원료 구입 시 기록과 제품 판 매 시 기록을 비교하여 수량, 사용처 등의 확인 을 통해 추적성이 확보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 심이다. 이에 따라 일정기간의 입고, 출고량에 대한 기록 확인(Input/Output), 가공 및 포장/재포 장 시 사용되는 전환율(Conversion rates)에 대한 기록 확인 및 검산, 인증범위(Scope)에 속하는 제품만 판매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추적성 시스템을 검증한다.
3) No substitution of Certified Products
위조금지는 인증받은 제품 대신 비 인증제품 을 바꿔치기하거나 섞어서 사용하는 것(No substitution)을 방지하기 위해 확인하는 것으로, 규격에서 제시하는 종류 및 계산법에 따른 소량 의 첨가물을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 다. 또한 포장 시 다른 제품과 섞이거나 인증마 크가 오용되지 않는지(Package) 검증한다.
4) Identification of Certified Products
구매, 보관, 가공, 포장, 라벨링, 판매 및 배송 모든 과정에서 인증받은 제품이 식별이 가능하 게 관리하고 있는지(Identification) 확인하고, 포 장 및 판매 시 적절하게 라벨링(Labeling)이 되고 있는지, 올바른 에코라벨 라이센싱(Eco-label License)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쌍대비교를 위해 계층 구조를 Fig. 2와 같이 구성하였다.
2. 설문조사 및 쌍대비교
설문은 Table 6과 같이 5점 척도를 활용하여 계층화된 운영요소를 쌍대비교할 수 있도록 하 였다. 설문조사는 본 규격을 통해 직접 유통업체를 심사를 진행하는 전 세계 MSC CoC 심사원들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25일까지 진행 되었다. 명단 및 연락처, 이메일이 확보된 80명에 게 설문서를 발송하였고, 총 23개가 회수되었다. 쌍대비교는 Principle 간의 비교, Management System의 Criteria 간, Traceability System 간, No Substitution of Certified Products Criteria 간, Identification of Certified Products 간 총 5회로 구 성되는데, 아래와 같이 Saaty(1980)의 공식을 기 반으로 Seo et al.(2014)의 정리를 바탕으로 기하 평균법으로 가중치를 구하였다.
Saaty는 만약 어느 계층의 요소가 A1, A2, …, An 이라고 할 때 이 계층에서 상대적 중요도(가중 치) w1, w2, …, wn을 구한다고 가정한다면 이 때, 각 요소에 대한 쌍대비교에 의한 값 aji는 Aj의 중 요도(wj)에 대한 Ai의 중요도(wi)를 나타낸다고 했다. 만약 w1, w2, …, wn가 알려져 있는 값이라 한다면, 각 요소에 대한 쌍대비교 행렬은 식 (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ij〓wi/wj, aij〓1/aij, W〓[w1, w2, …, wn]t 이다. 그런데 이 경우는 i, j, k에 대하여, aij×aik 〓aik가 성립한다. 이것은 의사결정자의 판단이 완벽하게 일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쌍대비교 행렬(A)과 중요도 벡터(W)를 곱해서 얻는 벡터는 W의 모든 원소에 n배를 한 값이다. 즉, A·W〓n·W가 된다. 이 식은 우변을 좌변으 로 이 항 하 고 I를 단 위 행 렬 이 라 하 면 (An ·I)·W〓0같은 고유값 문제가 된다. 여기서, W≠0이 되기 위해서는 n이 A의 고유값이 되어야 하며, 이때의 W는 A의 고유벡터가 된다. 또한, 행 렬A의 차수는 1이므로 고유값 li(i〓1, 2, …, n)는 하나의 값만을 빼놓고는 모두 0이 되며, A행렬 의 대각 원소의 값을 모두 더하면 n이 되기 때문 에 0이 아닌 단 하나의 li를 lmax라 하면, li〓0, lmax〓n(li≠lmax)가된다. 따라서 A1, A2, …, An에 대한 중요도 벡터 W는 행렬A의 최대고유값 lmax 에 대해 정규화시킨(Σwi〓1) 고유벡터가 된다. 그런데 실제의 복잡한 의사결정문제에서는 중 요도 벡터 W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의사결 정자의 판단(쌍대비교)에 근간하여 계산해 내야 한다. 의사결정권자부터 얻은 쌍대비교 행렬을 A′라 하고, 그에 상응하는 중요도 벡터를 W′라 하면, 이 문제는 A′·W′〓l′max·W′로 표시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W′는 A′의 최대 고유값 l′max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규화된 고유 벡터로서 구해진다. 그런데 실제 의사결정 상황 이 복잡해질수록 의사결정자의 판단(쌍대비교) 이 일관성을 갖기 어려워지는데, 일관성을 잃으 면 잃을수록 l′max의 값은 커지게 된다(Seo et al., 2015).
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가중치 및 일관성지수(CI : Consistency Index)값을 도출해 내었다.
3. 일관성 분석
식 (2)에서 lmax ≥ n이 항상 성립하며 모든 요소 의 쌍비교가 완벽하게 이로간성을 가지면 등식 이 성립하고, 일관성을 갖지 못할수록 lmax의 값 은 커진다. 이러한 근거 하에 다음과 같은 일관 성 지수(CI : Consistency Index) 산출 공식이 성립한다.
식 (3)에서 분자는 각 요소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비교에서 많이 어긋날수록 커지는 값이고, 분모는 n–1이므로, 어느 한 요소에 대한 어긋남 의 정도를 평균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Seo et al, 2015).
위의 일관성 지수 공식을 활용하여 총 회수된 23개의 설문서를 분석해본 결과 C.I 값이 0.1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7개로 나타나서 제외하였다. 나머지 16개의 설문서를 취합한 결과 CI 값은 Principle은 0.03124, Management systems은 0.00878, Traceability system과 No substitution of certified products는 0, Identification of certified products는 0.00014로 매우 높은 신뢰성을 나타내었다.
4. 종합결과 분석
상위레벨과 하위레벨의 가중치를 서로 곱하 여 Table7과 같이 종합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순위를 확인해 보면 문서화(Documentation)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인 0.106로 나타났고, 두 번 째 순위로는 기록유지(Keeping record)가 0.097, 세 번째가 교육(Training)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 인되었다. 이것은 Management system 소속의 하 위레벨이 대부분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시사해 주는데, 실제 상위레벨간의 쌍대비 교에서도 Management system이 가장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Management system 다음 우선순위로 는 Identification과 관련된 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해 본 결과, Eco-label의 가공 및 유통단계에서 일반적으로 FSMS, GMP 및 HACCP 등을 통해 식품안전관 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CoC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서화(Documentation) 및 기록관리(Keeping record)를 통해 관련 활동들에 대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문서화에서 는 식품안전 또는 위생관련 절차서 및 프로세스 가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유지를 통해 실제 실행 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인 교육(Training)은 책 임자가 업무와 관련된 지식과 스킬을 확보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Ecolabel에 대한 의무적인 교육이수 확인 시 식품안 전에 대해서도 접근하여 이에 대한 프로세스 구 축 및 운영에 대한 역할이 가능한지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식별(Identification)에 대한 식품 안전적 접근 으로는 보관, 취급, 수송 단계에서 Eco-label의 제품이 정확하게 구분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 인하게 된다. 이때 현장조사가 요구되므로, 이를 통해 시설 및 제품관리에 대한 관행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라벨링 (Labeling) 역시 보관 및 출하 시 위생 상태를 점 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식품 안전적 접근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산물 유통·가공업체들이 영세하기 때문에 HACCP이나 GMP 등을 통해 시스템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 이다(Seo et al., 2014). 이러한 업체들이 Eco-label CoC 인증을 요구받는다면 추적성은 보장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HACCP이나 GMP를 획득하라고 권장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에 추적성에 대한 보장이 강조된 CoC 인증에서 효율적으로 식품 안전적 접근을 하려면 기본적 인 요소에 대해서 보장할 수 있도록 업체에 요구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식품 안전적 접근성이 높은 요소를 쉽 게 파악하고 선별할 수 있도록 도출된 결과 값의 수치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Fig. 3과 같이 나타내 었다. Fig.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식품 안전적 접근 하기 위해 시스템적 맥락인 문서화와 기록 관리 에 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으로 보 인다. 교육훈련 및 식별관리가 비슷한 결과값으 로 도출되어 그 다음으로 식품안전적 접근이 이 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지며, 라벨링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 대부분 기록상에서 원료의 투입 과 산출에 대한 부분이므로 식품안전적인 측면 에서는 중요도가 낮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식품 안전적 접근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상위요소는 경영시스템이고, 하위레벨에서는 문서화 및 기 록관리 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교육 및 식 별관리도 높은 우선순위로 파악되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들과의 토론을 통 해 아래와 같이 식품 안전적 접근방향을 세 가지 로 제시하고자한다.
첫째, 인증규격에 대한 개정을 통해 식품안전 에 대한 경영시스템적 요구사항을 추가 하는 것이다. 기존 요구사항에서는 원료에 대한 추적성관리에 대한 경영시스템적 요구사항만 명시되 어 있는데 문서 및 기록 관리, 교육, 공급자관리 등 각 운영 프로세스에서 식품 안전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
둘째, 문서화 및 기록 관리의 조항에서 업체가 식품안전에 대한 보장을 하는지 확인하는 내용 을 추가하는 것이다. FSMS, HACCP, GMP 등의 구축 및 인증을 통하여 식품안전성을 보장하는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규모가 영세하 거나 인식이 부족해서 관련 절차가 없는 곳은 구축할 수 있도록 조항에서 활동을 장려하는 방식 이다.
셋째, 식별관리를 위한 현장심사시 위생 및 식품안전에 대한 부분을 추가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체크리 스트는 규격의 요구사항 및 조항의 변경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인증기관에서 개발된 체크리 스트를 가지고 심사를 한다면 식품안전에 대한 접근을 통해 업체에 개선사항을 권고할 수 있다.
수산물에 대한 소비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 이고, 이에 따른 공급에 대한 지속가능성과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도 함께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이를 보장하기 위한 인증제도는 통합되어 있지 않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리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수산물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창시된 Eco-label의 경우에는 유통과정에 서 식품안전적인 측면이 고려되고 있지 않아서 식품안전 사고 발생 시 소비자 신뢰 및 인증이미 지가 크게 실추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인증규격 개발 주체 및 인증기관 등에서 기존 규격의 구조를 크게 변형하지 않고 식품 안전적 접근방법 개발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고, 연구과정에서 Eco-label 뿐만 아니라 FSMS, HACCP, GMP 등 의 인증제도에서도 인증받은 제품이 유통·가 공단계에서는 원료 및 제품에 대한 추적성만 보 장하도록 하고 있으며, 위생성이나 안전성에 대 해서는 관리의 맹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는 점에 시사점이 있다.
현재 인증제도의 홍수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다양하고 중복적인 인증이 많아서 영세한 업 체입장에서는 갈수록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접근방식을 통해 규격의 요 구사항이나 심사방식이 통합되는 방식으로 개 선될 수 있다면 향후 Eco-label 인증을 도입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인증제도 역시 활성화될 수 있 을 것이라 기대한다.
Figure
Table
Reference
- Alexis, G. and Thomas, F. T. (2014),"Can Consumers Understand Sustainability through Seafood Eco-Labels?, A U.S. and UK Case Study,"Sustainability, 6(11), 8195-8217.
- Bernhardt, H. W. and Raschke, A. (1998)."GoodManufacturing Practice (GMP) in Cane Sugar Factories,"Proc S Afr Sug Technol Ass, 72, 215-218.
- Deere, C. L. (1999),"Eco-labelling and Sustainable Fisheries,"IUCN-The World Conservation Union an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 Færgemand, J. (2008),"The ISO 22000 series Global standards for safe food supply chains,"ISO Management System, Special Report.
- FAO (2008),"The ecosystem approach to fisheries,"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 FAO (2012),"Technical Guidelines for Responsible Fisheries,"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 Fearne, A., Hobbs, J. and Spriggs, J. (2002),"Incentive Structures for Food Safety and Quality Assuran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Food Control, 13(2), 77-81.
- GFTC (2014), Enhancing Seafood Traceability Issues Brief, Global Food Traceability Center, August.
- Grunert, K. G., Hieke, S. and Wills, J. (2014),"Sustainability labels on food products : Consumer motivation, understanding and use,"Food Policy,44, 177-189.
- Hoffmann, S. (2010), Food Safety Policy and Economics:A Review of the Literature. Resources for the Future, July, 39.
- Jaffry, S., Pickering, H., Ghulam, Y., Whitmarsh, D. and Wattage, P. (2004),"Consumer choices for quality and sustainability labelled seafood products in the UK,"Food Policy, 29(3), 215-228.
- Kang, S. H., Hur, W. M. and Park, K. D. (2013),"The Antecedents of Satisfaction of eco-friendly seafoo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Fishery Business Administration,44 (2), 051-068.
- Kraisintu, K. and Zhang, T. (2011),"The Role of Traceability in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Master of Science Thesis in Supply Chain Management,"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 Michels, B. W. L. and Welch, J. (2014),"Ingredient Chain of Custody : Impact on Food Safety,"Food Safety Magazine, June-July.
- MSC (2015), http://cert.msc.org/supplierdirectory/VController?Path=be2ac378-2a 36-484c-8016-383699e2e466.
- Ropkins, K. and Beck, A. J. (2000),"Evaluation of worldwide approaches to the use of HACCP to control food safety,"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Seafood Choices Alliance (2008),"The U.S Marketplace for Sustainable Seafood: ARE WE HOOKED YET?,"Seafood Choices Alliance.
- Seo J. S., Seo, W. C. and Ock Y. S. (2014)"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quaculture Certification System to Meet Greater Retailer's SupplierAssesment Requirement,"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Fishery Business Administration, 45 (1), 033-047.
- Sterling, B. and Chiasson, M. (2014)."Enhancing Seafood Traceability Issues Brief,"Global Food Traceability Center.
- Wang, H. H., Zhang, X., Ortega, D. L. and Olynk Widmar, N. J. (2013), Information on food safety,consumer preference and behavior: The case of seafood in the US, Food Control, 33 (1), 293-300.
- Wessells, C. R., Cochrane, K., Deere, C., Wallis, P. and Willmann, R. (2001),"Product certification and ecolabelling for fisheries sustainability Product certification and ecolabelling for fisheries sustainability,"FAO Fisheries Technical Paper,422.
- William, L. Michels, C.P.M, C. (2009), Managing the Chain of Custody: Minimizing Your Risk And Exposure!, May.
- WWF (2009), Assessment of On-pack, Wild-capture Seafood Sustainability Certification Programmes and Seafood Ecolabels.
- WWF (2012), Smart Fishing Initiative: Comparison of Wild-Capture Fisheries Certification Schemes.
- Xu, P., Zeng, Y., Fong, Q., Lone, T. and Liu, Y. (2012)."Chinese consumers'willingness to pay forgreen- and eco-labeled seafood,"Food Control, 28 (1), 7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