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8-1727(Online)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5.46.3.143
A Study of Fisheries Distribution Margin and Performance ; Focused on the case of Mackerel
Abstract
수산물 유통마진과 유통성과 연구† -고등어 유통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
Ⅰ. 서 론
Ⅱ. 고등어 수급 및 가격 동향
1) MOF, Fisheries Information Portal(www.fips.go.kr)
2. 고등어 유통단계별 가격현황
10년 간 고등어 월별 위판가격 추이를 살펴보 면 먼저 월별 고등어 평균 위판가격은 12월이 1,313원/kg로 가장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으 며, 1월부터 위판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2∼7월의 고등어 위판가격(고등어 하품 250∼ 350g 기준)은 평균 위판가격인 2,109원/kg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위판가격이 가장 높은 달은5월 2,993원/kg으로 이후 7월부터 12월까지는 위 판가격이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 등어 금어기인 4∼5월을 제외하면 연중 조업이 가능하며, 9∼12월 사이 전체 물량의 60∼70% 가 어획되기 때문에 가격이 계절별, 월별로 차이 가 발생하고 있다.
고등어 소비지도매시장 경락가격(고등어 중 품 200∼300g 기준)은 앞선 산지 위판가격과 마 찬가지로 계절적으로 12월부터 5월은 상승하며 6월부터 11월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 지역의 중품 고등어(선어)의 도매가격 평균은 3,827원/kg으로, 12월부터 3월까지 도매가 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4월부터 11월까지 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도매가격이 가장 높은 달은 3월(4,389원/kg)로 평균가격보다 14.6% 높았고 도매가격이 가장 낮은 달은 10월 (3,473원/kg)로 평균가격 보다 10.1%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적으로 1월부터 5월까지는 월평균 고등어 도매가격보다 높게 형성되고, 6 월부터 12월까지는 평균 도매가격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의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중품 고 등어의 마리당 소매가격(고등어 중품 330g 기준) 은 평균 2,821원이며, 고등어 마리당 소매가격이 가장 높은 계절은 5월(2,996원/마리)로 평균가격 보다 6.2% 높게 나타났다. 소매가격이 가장 낮 은 계절은 8월(2,646원/마리)로 평균가격보다 6.2%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적으로 고등 어 소매가격은 1월, 2월, 3월, 8월은 평균 가격보 다 낮게 형성되고 있었고, 4∼7월, 9월, 10월, 12 월은 평균 가격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산지 단계의 고등어 평균가 격은 2,109원/kg, 소비지도매시장 2,215원/kg, 도 매단계는 3,827원/kg, 소매단계는 8,463원/kg 순 으로 조사되었다. 고등어의 유통마진은 산지단 계에서 소매단계로 갈수록 커지며, 산지단계와 소매단계의 고등어 가격은 약 5배 가량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 유통기관별 고등어 유통실태 조사
1. 조사 방법
1) 조사방법
유통마진 조사방법으로는 추적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유통실태 조사대상은 생산자, 가공업자, 산지위판장, 소비지도매시장, 도매상, 소매상, 대형마트, 재래시장 8개 단체로 구분하였다. 유통마진 내역 추적조사는 우선 조사대상인 고등어 유통업체를 선정하고 인터뷰와 유통과정에 대한 기록,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2).
특히 유통 업체 선정과정에서는 고등어를 전문적으로 취급 하는 대형 유통업체 2곳, 중소형 유통·가공업체 각각 3곳을 직접 방문, 인터뷰를 통하여 본 연구 의 목적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내부자료를 협 조받았다. 수산물의 특성상 시점상의 가격 오차 를 줄이기 위하여 2013년 10월∼2014년 4월 사이 월별, 계절별로 조사시점을 다양화 하였다.
2) 조사결과
고등어의 유통단계별 물량 및 금액비중은 산 지위판장의 전체 물량인 121,739M/T (2012년 기 준) 취급금액 227,395백만 원을 100이라고 가정 한 후 이에 대한 유통단계별 배분이용을 정리하 였다(Table 3).
먼저 정부의 어가조절 및 수급조절을 위한 정 부비축물량은 728M/T으로 전체 약 1%에 해당 하는 물량을 비축하였으며 취급금액은 2,653백 만 원으로, 이 또한 전체 약 1.2%에 해당하는 비 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산의 지역소비량이 차지하는 취급량은 5,745M/T 정도로 추정되었 으며, 전체 약 4.7%(금액기준 7,852백만 원, 3.5%)에 해당하는 물량이 부산지역 도매시장으로 분산되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사 도매시장으로 팔려나간고등어는 6,257M/T에 달하며 전체 5.1%에 해당하는 비중 으로 취급금액은 약 10,289백만 원으로 전체 취급금액의 4.5%로 추정되었다. 사료가공업체가 취급하는 사료용 고등어 물량은 6,051M/T으로 전체 5%에 달하는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 정된다. 냉동창고/가공업체/수출물량의 합계 취 급량 추정치는 약 37,864M/T으로 전체 31.1%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고등어 수출물량은 62,000M/T으로 조사 되었으나, 이 중 3자물류에 의한 물량과 원양생 산품이 포함되어 있는 물량으로 적정추정치는 25,000M/T 내외일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냉동창고 냉동물량과 가공업체 의 물량이 나머지 12,000M/T 정도를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비지도매시장 3곳(가락농수산물도매시장,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의 전체 취급량은 29,991M/T으로 전체 24.7%, 취급금액은 57,121백만 원(25.1%)에 달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가락농수산물 도매시장 의 취급물량이 3곳 중 가장 많은 12,257M/T(금 액기준 27,510백만 원, 12.1%)으로 전체 10.1%에 달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 으로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이 10,241M/T으로 전체 8.4%(금액기준 24,869백만 원, 10.7%), 마지막으로 구리농수산물 도매시장이 7,493M/T으 로 전체 6.2%(금액기준 4,742백만 원, 2.1%)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형마트 3사를 비롯한 기타마트의 전체 취급 물량은 25,790M/T으로 전체 21.2%에 달하는 물 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E마트가 5,100M/T(약 4.2%), 그 뒤를 이어 홈플러스 4,800M/T(약 3.9%), 롯데마트 4,500M/T(약 3.7%)으로 대형마트 3사가 차지하는 물량은 전 체 11.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하나로, 농협, 탑마트 등의 기타마트 합계 취급 량은 11,390M/T으로 전체 9.4%에 해당하는 물 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형소매점으로 SSM과 백화점은 전체 4.3% 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는 데, SSM의 경우 취급량은 4,892M/T으로 전체 4.0%(금액기준 11,429백만 원, 5%)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였고, 백화점의 경우 316M/T으로 738백만 원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형마트와 대형소매점의 합계 비 율은 총 25.5%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급식 및 식자재업체의 취급물량은 4,105M/T으로 전체 3.4%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단체급식과 식자재업체의 특성상 가공품의 수요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도매시장 및 가공업체의 고등어 가공품의 수요까지 합하게 된다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등어의 산지위 판장의 양륙 이후 시점 유통단계별 이용배분은 산지와 소비지 배분이 대략 4.5대 5.5 정도이다. 산지에서는 가공·보관·수출 수요가 높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지 단계에서는 소비 지도매시장과 대형마트 비중이 거의 절반씩 이 용·배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 분 대형마트의 고등어 구매는 산지시장에서 직접 하고 있어 독자적인 유통시스템을 가지고 기존 산지위판장–소비지도매시장–도매상–전 문소매점과 같은 유통단계 연결성과는 차별화 하여 왔다.
Table 4는 고등어의 주요 유통경로 유형 Ⅰ, Ⅱ, Ⅲ, Ⅳ에 따라 유통단계 및 유통기관의 점유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Ⅰ유형은 가장 일반 적인 유통경로로서 생산자로부터 산지위판장을 거쳐 소비지도매시장으로 유통되는 경로로 이 후 도매상을 거쳐 소매상으로 유통되며 최종적 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데, 전체 고등어 유통 경로 유형에서 약 24%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Ⅱ유형의 경우 유통경로 유형 중 가장 많은 약 26%의 점유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자로 부터 시작되어 산지위판장에서 산지도매상과 중간유통업자라고 할 수 있는 벤더를 통해서 계 약된 대형소매업체로 유통되는 경로이다. 예전 의 경우 Ⅰ유형의 경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했으나, 조사결과 현재는 Ⅱ유형이 가장 높은 비 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유형의 경우 생산자로부터 산지위판장으로 유통되어 가공업체에서 가공을 거쳐 단체급식 등 각 수요처에 맞게 유통 배분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으로 경로 유형에서 약 4% 비율 을 나타내고 있다. Ⅳ유형은 생산자로부터 산지위판장에서 산지 도매상을 통해 지역 재래시장으로 유통되어 소 비자에게 전달되는 유통경로로 5%의 점유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2) 고등어 유통마진 실태는 해양수산부‘수산물 유통사업 체계 개선 사업(2013)’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음.
Ⅳ. 고등어 유통마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등어 유통은 상 당한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산지위판장 의 역할은 크게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 하 지만 산지위판장 이후에 있어서는 소비지도매 시장을 경유하지 않는 유통 비율이(Ⅱ, Ⅲ, Ⅳ형) 75% 정도로 상당히 높아져 있고 특히 벤더 (Vendor)라고 하는 중간유통업자의 비중확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이 과연 소비지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을 충분 히 보완·대체할 수 있는가, 그리고 대형할인점 을 중심으로 변한 유통환경에 어떤 기능과 역할, 경쟁력을 갖추면서 확대하여 왔는지에 대해 고 등어 유통마진 형성 내용과 규모와 소비지도매 시장 유통 관계자(도매법인, 중도매인)와 벤더 간의 유통성과 비교를 통해서 규명하기로 한다.
1. 고등어 유통마진
1) 산지위판장
수산물 유통 산지단계에서는 생산자 비용과 중매인 비용의 유통마진이 발생하게 된다. 생산 자 비용에는 위판수수료, 양륙비, 배열비가 발생 하는데, 부산공동어시장의 위판수수료는 3.4% 를 징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륙비와 배열비는 항운노조에서 징수하는 비용으로 위 판장에 접안한 어선에서 위판장으로 생산물을 양륙·반입하는 비용이며, 배열비는 경매를 진 행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진열하는 작업비용 을 뜻한다. 선상경매 입상 작업 시에는 일반 작업과 동일한 양륙, 배열비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3).
경매가 끝난 고등어가 중도매인에게 소유권이 이양되면 이후의 비용은 중도매인이 지불하게 된다. 산지위판장에서 중도매인이 지급하는 비 용은 선별비, 운반비, 상차비, 어상자비용이다4). 어상자는 나무상자, 골판지상자, 스티로폼상 자의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어상자는 장거리 운반일 경우 선도유지를 위하여 스티로폼 상자5) 를 주로 사용하며 나무상자는 스티로폼상자의 가격보다 저렴하며 재사용품의 경우 할인가격 이 적용된다. 선별된 고등어는 각 지방의 수요처 로 분산되게 되는데 운송방법으로는 트럭을 이 용한 방법이 일반적이다. 운송비는 중도매인과 운송업체가 별도 운임계약을 체결하고 있다6). 근거리 유통과 대형마트 유통의 경우에는 대부 분 냉동탑차를 사용하고 있고 원거리, 수도권과 같은 비교적 먼 거리는 일반 트럭을 사용하고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매인 수수료는 3∼ 5% 마진율로 적용하고 있었는데 대부분 4%를 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지위판장의 기능과 역할 중에서 가장 중요 한 것은 양륙과 배열, 경매를 통한 1차적 가격형 성이다. 다시 말해 산지위판장에서 발생하는 유 통마진은 단순한 상업 마진이 아닌 물류기능 수 행에서 발생하는 유통비용적 성격이 강하다. 선 망 고등어의 경우 현시점에서도 이 같은 산지 유 통기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산지위판장–소비지도매시장 유통
산지에서 출하된 고등어가 소비지도매시장에 위판하기 위해 출하자는 위탁수수료 4%를 소비 지도매시장에 지불해야 한다. 이때 출하자와 소 비지도매시장 사이에 주재하주라는 비제도권 유통업자가 유통과정에서 개입할 수 있다. 주재 하주는 소비지도매시장 주변에 상주하며 출하 자를 대신하여 위탁, 상장업무, 장외판매를 대행 하는데, 이는 출하자의 소비지도매시장 위탁과 정에 대한 불신에서부터 비롯되어 생겨난 업종 이다. 다시 말해 집하된 어종의 경매(배열, 진열) 과정과 절차에서 누락되거나 기록상장, 경매가 격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 산지 출하자는 특정 주재하주와 계약을 통해 출하 위탁 대행업무를 수행토록 하였다. 현재 주재하주는 정상적인 유 통경로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도매시장에 대한 신뢰가 약해지면 언제든지 개입할 수 있는 여지 는 많다. 주재하주들은 산지 중도매인 또는 생산 자와 업무 계약을 맺고 거래금액의 3∼5%의 수 수료를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적정가격 보다 높은 가격을 받았을 경우 소정의 인센티브 를 더 받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하차비는 소비지도매시장에 도착하여 경매장 까지의 운반비용 일체를 뜻한다. 여기까지가 산 지출하자의 지불비용이며 이후 경매가 진행된 다. 경매가 끝나 소비지 중도매인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면 중도매인들은 중도매인 수수료 3∼ 4%를 부과하고 기타비용(임대료 및 인건비 등 의 고정비용)을 제외한 다음 각지의 도매상들에 게 판매된다.
이렇게 판매된 고등어는 도매단계에서 다시 유 통마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도매상 구입가격으로부터 도매상 마진, 인건비, 수수료, 부대비용, 순이익을 포함하여 고등어 최종 소매 가격의 약 10%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 각 개별 소매상들에게 재판매되어진다. 소 매단계에서는 이제껏 발생한 유통비용 중 가장 큰 비용이 발생하는데, 조사에 따르면 소매상 구 입가격으로부터 소매상 마진, 화물운송비, 상· 하차비용, 시장판매수수료, 판매비용, 부대비용, 인건비 등을 합하면 고등어 최종 소매가격의 약 38%가 소매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4) 양륙·배열비와 마찬가지로 어시장 내의 항운노조와 연간 체결된 계약에 의해 결정되어 있으며 예로 부산공동어시장 내 작업노임은 하조반, 운반반, 부녀반으로 구분되어 작업을 담당하고 있다.
5) 스티로폼 상자 : 1,364원(개당),나무상자 : 1,331원(2013년 기준, 중도매인협회)
6) 평균적인 금액조사를 위하여 전국 냉동 차주 협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요금표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일반화물차(5ton) 기준으로 수도권 운송요금인 430,000원을 약 600박스 적재기준으로 계산하였다.
3) 산지위판장–대형마트유통(중간Vendor 경유)
대형마트 유통경로는 산지단계까지는 소비지 도매시장의 유통경로와 같은 경로를 거친다. 하 지만 산지 중도매인의 수수료가 3%로 현재 고 정되어 있으며, 또한 운송비는 산지에서 계약된 운송업체를 통해 운송하므로 운송비가 따로 포 함되지 않았고, 경매과정에서는 대형마트와 계 약된 다수의 중도매인들을 통해 매입하게 되는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형마트의 유통경로는 크게 3가지 단계를 거 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산지에서 물류센터로 보내진 고등어가 다시 각 점포로 분산되어 소비 자에게 판매된다. 이때 물류센터(FDC : Fresh Distribution Center)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각 유 통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첫 번째는 산지 구매 시 발생하는 금융비용의 이자율로 160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며, 구매한 고등어를 산지에서 벤더로 운송하는 산지수송비 용으로 전체 금액 중 2.6%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센터에 입고된 고등어는 자체적인 선별을 통해 박스, 자재, 얼음을 포함한 자재비(5.5%)가 발생하고, 선별과정, 운반과정에 서 발생하는 작업비(3.0%), 수송비(3.4%), 벤더마 진(3%)을 합하여 전체금액의 약 15% 정도의 비 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과정 을 거친 고등어는 선도유지를 위해 최단시간에 각 지점으로 운송되며, 이때 물류비가 다시 발생 한다. 대형마트의 순이익의 범위는 고등어 소비 자 가격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경로별 유통마진 비교
고등어의 Ⅰ유형(도매시장 유통경로), Ⅱ유형(대형마트 유통경로)의 유통경로의 추적조사를 통해 유통단계별로 생산자의 수취가격과 산지, 소비지의 유통마진 등 단계별 마진율을 정리하 면 Table 7과 같다.
Ⅰ유형(도매시장 유통경로)의 경우 단계별 유 통마진을 살펴보면 산지 위판단계에서 297원 (8.0%), 소비지에서 도매시장 354원(9.7%), 도매 상 240원(6.6%), 소매상이 가장 높은 1,002원 (27.5%)의 마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유통마진 은 산지단계의 297원(8.0%)과 소비지단계의 1,596(43.8%)원을 더한 1,893원(51.8%)이며, 그 가격에서 생산자 수취가격 1,747원을 더한 값으 로 소비자의 고등어의 지불가격은 3,640원으로 나타났다. Ⅱ유형(대형마트 유통경로)의 유통마진은 산 지 위판단계에서 297원(9.7%)이고 소비지에서 1,026원(33.4%)으로 조사되었다. 총 유통마진은 산지의 297원(9.7%)과 소비지 단계에서 1,026원 (33.4%)을 더한 1,323원(43.1%)으로 총 유통마진 에서 생산자 수취가격 1,747원을 더한 값이 최종 소비자 지불가격인 3,070원으로 나타났다.
Ⅱ유형(대형마트 유통경로)의 유통마진이 Ⅰ 유형의 유통마진보다 570원(8.7%) 낮게 나타났 는데, 이는 소비지도매시장을 경유할 경우 상장 수수료 및 도·소매상의 마진이 포함되기에 유 통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다.
Table 8은 고등어의 Ⅰ, Ⅱ 유통경로별 유형별 로 발생하는 유통마진을 유통비용과 유통이윤 으로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Ⅰ유형의 경우 유통마진은 1,893원(51.8%)으 로 유통경로 유형별 유통비용은 다음과 같다. 산 지 위판단계에서 143원(3.8%)의 비용과 소비지 에서는 총 563원(15.4%)으로 도매시장 88원 (2.4%), 도매상 24원(0.6%), 소매상 451원(12.4%) 으로 조사되었다. 총 유통비용은 산지비용 88원 (3.9%)과 소비지비용 563원(15.4%)을 더한 값인 706원(19.2%)으로 나타났다. 유통이윤은 산지 위판단계에서 154원(4.2%), 소비지 단계에서는 도매시장 267원(7.3%), 도매상 217원(6.0%), 소 매상 549원(15.1%)으로 구성되었고, 총 유통이 윤은 산지단계가격인 154원(4.2%)과 소비지 단 계의 1,033원을 더한 가격인 1,187원(32.6%)으로 나타났다.
Ⅱ유형의 경우 유통마진이 1,323원(43.1%)으 로 단계별 유통비용은 산지단계에서 143원 (4.7%), 소비지에서 413원(13.4%)을 나타냈으며, 총 유통비용은 산지와 소비지 단계를 더한 556 원(18.1%)으로 조사되었다. Ⅱ 유형 유통비용 556원은 Ⅰ유형의 비용인 706원보다 150원 낮은 수준이다. Ⅱ유형의 경우 유통이윤은 산지위판장에서 154원(5.0%)의 이윤과 소비지에서 613원(20.0%) 으로 구성되고, 총 유통이윤은 767원(25.0%)이 발생하였다. Ⅱ유형의 유통이윤 767원은 Ⅰ유형 의 1,187원보다 420원 낮은 수준이다. Ⅰ유형과 Ⅱ유형의 유통경로상에서 발생하는 유통마진의 구성 유통이윤과 유통비용으로 구 분하여 보면, 두 경로간의 유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유사한 수준(Ⅰ유형 19.2%, Ⅱ유형 18.1%)이다. 유통이윤이 차지하는 비중(Ⅰ유형 32.6%, Ⅱ유형 25.0%)에서는 Ⅱ유형이 보다 낮 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고등어의 Ⅰ유형(도매시장 유통경 로)과 Ⅱ유형(대형마트 유통경로) 경로별 유통 효율을 유통마진율, 비용율, 이윤율, 총비용 효 율을 통해 비교 정리하면 Table 9와 같다. 먼저 유통마진율은 Ⅰ유형이 51.8%, Ⅱ유형 43.1%이 고, 유통비용율의 경우는 Ⅰ유형 19.2%와 Ⅱ유 형 18.1%, 유통이윤율은 Ⅰ유형이 32.6%, Ⅱ유 형은 25.0%의 이윤이 나타났다. 총 비용효율은 Ⅰ유형 3.07, Ⅱ유형 4.00의 효율이 발생하여 최 종적으로 Ⅱ유형 유통경로가 Ⅰ유형 유통경로 에 비해 0.93만큼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Ⅰ유형과 Ⅱ유형 간의 유통효율성의 차이 즉 유통마진 차이의 주요인은 유통비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통판매 즉 『산지위판장- 소비지도매시장-도매상-소매상』유통경로와 『산지위판장-벤더-대형할인점』유통경로 간 의 유통효율성 차이는 통상적인 유통이윤보다는 유통비용의 효율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3. 소비지도매시장(도매법인·중도매인)과 벤더의 유통성과
고등어 유통사례를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유 통 점유율 측면에서 소비지도매시장을 통한 기 존 유통채널을 벤더가 속해 있는 대형 유통업체 가 주도하는 시장이 앞질렀다는 점에 주목할 필 요가 있다. 하지만 앞에서 분석한 대형할인점 유 통경로가 유통비용에서는 어느정도 우위를 가 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이것이 두 유통경로 의 효율성을 전부 결정한다고 하기에는 설득력 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Jang(2011)은 수산물 유통에 있어 유통성과를 다음과 같이 개념정리하고 있다. 유통에 있어 유통성과 향상은 2가지 측면을 지니고 있다. 하나 는 상품의 양과 질에 관련되는 것으로 필요한 시 기(때)에 필요한 장소(곳)에 필요한 질의 상품을 필요한 양만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 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와 함께 판매한다 는 점에서 서비스 향상이 유통성과 향상과 직결 된다. 결국 유통성과는 상품믹스의 향상과 상품 의 서비스 향상으로 제고될 수 있다.
따라서 도매시장 경유 유통경로와 대형할인 점 유통경로 간의 유통성과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매시장의 유통성과에 직접 관계하는 것은 도매법인과 중도매인이고 대형 할인점의 유통성과에 직접 관계하는 것은 벤더 이다. 여기에서는 이들 두 유통기관의 역할과 기 능에 어떤 차이가 있어 최종적으로 유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기로 한다.
벤더 및 소비지도매시장의 기능 및 역할에 대 한 만족도 조사를 2014년 4월 한 달간 소매점 바 이어, 식자재 및 단체급식 바이어 등을 대상으로 30개 업체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두 유통기관의 역할과 기능은 중심 기능과 지 원 기능 2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중심 기 능에는 수집, 선별, 평가와 같은 도매시장(도매 법인·중도매인)의 본원적 기능과 시장개척, 제 품개발, 물류, 마케팅, 원료확보 및 재고관리 8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원 기능에는 정보공 유, 금융, 투자, 무역의 4가지 기능으로 총 12개 항목에 대하여 7점 척도를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조사항목의 첫 번째 중심 기능의 수 집 기능은 지역 생산품의 수집, 소비지 수요에 따른 사이즈별 상품 수집, 가공품 수집 등을 의 미한다. 선어고등어, 냉동고등어, 컷팅, 통조림, 필렛, RTE(Ready To Eat), RTC(Ready To Cook) 상품 등 다양한 상품의 구색을 위하여 다양한 산 지 지역과의 협력, 많은 거래횟수를 통한 신속거 래가 가능하며 소비지도매시장 중도매인이 벤 더에 비해 1.2점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 타났다.
두 번째 선별 기능은 사이즈별 품질별 상품분 류를 의미한다. 어종 식별, 중량/크기 식별, 선도 식별 등의 기능이 여기에 포함되며, 이는 벤더와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 모두 공통적으로 수행 하고 있는 기능이나 만족도 조사에서는 중도매 인의 기능적 만족도가 벤더에 비해 높게 형성되 었다.
세 번째, 평가 기능은 가격결정기능, 품질평가, 가격교섭기능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적 정가격이 형성되고 품질의 일괄성 유지, 가격 교 섭 탄력성 등의 성과가 나타나는데, 소비지도매 시장 중도매인이 벤더보다 만족도 평균 점수를 1.6점 높게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시장개척 기능은 새로운 시장을 개척, 개발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새로운 시장이라 함 은 국내 산지시장 개척을 통한 물량 확보, 거래관 계가 없는 대형할인점 개척을 통한 거래처 확보, 해외 산지 개척 및 해외 소비시장 개척을 의미한 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지 지역과의 협력을 통해 다빈도 신속거래가 가능해졌으며 상품의 다양성 이 확대되었다. 만족도 조사결과에서는 벤더가 소비지도매시장 중도매인에 비해 평균 4.0 차이 로 월등히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벤더의 경우 전반적인 시장개척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 하고 있으나,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의 경우 국 내 산지시장 개척 기능은 일부 수행하지만 대형 할인점, 해외 시장 개척의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있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 번째, 제품개발 기능은 대형할인점 등의 거래처 신상품 개발에 대한 신속한 공동대응, 해 외 상품 개발 등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급변하는 소비시장에서 소비자 기호변화에 따른 신상품 개발에 신속히 대응하며, 나아가 해외 소비시장 의 정서와 환경을 고려한 상품개발을 의미한다. 최근 많은 벤더들이 소비자의 기호와 트렌드를 고려한 다양한 가공상품을 개발하고 다양한 수 입 수산물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벤더가 평균 3.3점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같은 결과는 벤더가 대형할인 점의 소비자 정보를 통한 새로운 상품개발에 즉 각 대응하고 있으나,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의 경우 선어 중심의 상품 취급으로 인해 이러한 기 능을 잘 수행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섯 번째, 운·배송을 포함하는 통합물류 기 능은 유통단계별 운송, 최종소매점까지의 배송이 포함되는 기능과 냉동, 가공품 등 재고 확보 및 보관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대형할인 점의 경우 자체 물류센터를 운영함으로써 도· 소매 기능의 통합을 통해 유통단계를 축소하여 물류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소비지도 매시장 구성원의 경우에는 도매시장 내부 물류 기능을 제외하면 실수요자들이 직접적으로 상 품을 운·배송하기 때문에 기능의 일부분을 수 행하고 있어 만족도 조사결과에서는 벤더가 소 비지 중도매인보다 평균 0.6점 높은 점수를 획득 하였다.
일곱 번째, 마케팅 기능은 상품의 홍보, 판로 다각화, 가격 조정 및 할인, 상품 포지셔닝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벤더의 경우 거래처간의 상품 홍보, 대형할인점과의 계약을 통한 매장 내 상품 의 홍보, 상품에 대한 포지셔닝을 하고 있으며, 판로의 다각화, 시장 환경 등에 대응한 탄력적인 상품 가격 조정 및 할인을 통하여 판매촉진 및 재고소진에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가격조정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산제품 홍보확대, 판촉행사 대응력, 새로운 유통파트너 개발의 성 과를 이루었다. 이러한 마케팅 기능에 대한 만족 도 조사 결과 벤더가 소비지 중도매인에 비해 평 균 3.7점 높은 점수를 받아 벤더의 마케팅 기능 과 역할 수행에 대해 다각적 측면에서 노력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반해 소비지도매시장 구 성원의 경우는 판로 다각화에 적극적이지 못하 다고 할 수 있다.
여덟 번째, 원료확보 및 재고관리 기능은 재고 관리 및 유지, 판매부진 상품의 철수, 불가피한 상품의 재고정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기능은 선어유통 중심으로 재고관리 기능이 없는 소비 지도매시장 구성원에 반해 벤더의 경우는 가공 품, 냉동품과 같은 재고 관리를 수행하며 판매부 진 상품의 철수 및 불가피한 상품의 재고정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대형할인점의 리스 크를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소매점의 경우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부담 감소, 대형할인점의 재고 리스크 감소, 장기적 거래관계 유지와 같은 성과를 이루었다. 만족도 조사결과 벤더가 소비지 중도매인에 비해 0.5점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다. 이는 벤더가 고등어 선어를 제외한 나머지 가공품과 냉동품 등의 재고를 냉동창고 등에 보 관하여 판매 시점 조절 및 재고관리를 수행하지 만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의 경우에는 선어중 심의 상품을 취급하여 상품 선도를 위하여 필요 한 양만큼만 구입하여 당일 재고를 소진함으로 재고관리기능 자체가 의미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지원적 기능의 첫 번째 정보공유의 기능으로 생산, 시장관련 정보를 거래처간의 신 뢰를 바탕으로 교환, 공유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정보통신 기능 발달로 시장정보 획득이 용이해 졌으며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상호 지속적 관계 유지가 가능해졌다. 이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 근소한 차이로 벤더가 평균 0.2점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유통 시장 정보는 독점적·폐쇄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고 상 당히 공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금융 기능은 단기손실감수 및 일정기 간의 신용거래를 허용하는 것을 뜻한다. 벤더와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 모두 상품 거래에서는 신용거래가 주가 되며 신뢰를 통한 일정부분의 외상거래도 허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소매 업 간의 전략적 상생관계를 통한 파트너십 형성 의 성과를 가져왔다. 만족도 조사 결과, 전통적 중도매인의 기능이라 할 수 있는 금융기능에서 는 소비지 중도매인이 벤더에 비해 평균 0.1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미 벤더 역시 금융 기 능에 대한 기능과 역할 측면에서 높은 기여를 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투자 기능은 중장기적 거래를 통한 거 래안정성을 기반으로 하청업체 또는 협력업체에 투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포장기기, HACCP가공시설 확충, 전도금을 통한 물량확보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 해 유통 물류 기반 시설 개선 및 확충이 이루어지 고 시장 변화 대응 투자 의지가 개선되는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투자기능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 벤더가 소비지 중도매인 보다 평균 2.6점 높은 점 수를 획득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벤더는 대형할 인점과 지속적인 거래를 위하여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나, 선어중심의 소비지도매시장 구성 원의 경우에는 이 부분이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 무역 기능은 양질의 안정적인 수입원료 를 확보하는 기능이다. 이는 가공원료로 사용되 는 수입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하여 해외 바 이어 및 생산업체와의 무역을 통해 원료를 확보 하는 기능을 일부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해 외시장을 개척하는 성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 한 만족도 결과 역시 벤더가 소비지 중도매인에 비해 3.1점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종 소매점이나 대형수요처(단체급식, 식자재업체 등)를 대상으 로 하는 소비지도매시장(도매법인·중도매인) 과 벤더의 중간 유통성과에 대한 평가는 대체적 으로 도매시장 관계 유통기관보다 벤더의 역할 기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벤더의 유통성 과는 유통경로 간의 경쟁우위 요인도 작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의 도매시장 경유 재래 시장 유통경로와 벤더 경유 대형마트를 통한 유 통경로 간의 단계별 가격 및 유통마진을 조사하 였다. 또한 유통마진을 기준으로 하는 유통경로 각각의 유통효율성을 측정하고, 소비지도매시 장의 구성원과 벤더간의 기능과 역할을 기준으 로 하는 유통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산물 기본특징과 유통경로상의 문제점으로 는 복잡성과 다단계를 들 수 있다. 수산물 유통 경로에 있어 대형할인점 확대는 독립적인 유통 체계를 통해 재래시장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졌 다. 하지만 추적조사 분석 결과, 유통경로간 유 통이윤의 차이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는 유통비용의 차이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전반적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세 부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어의 유통단계별 물량 및 금액비중 조사결과로 산지위판장에서 출하된 고등어는 크게 9개의 소비처로 배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가장 많은 유통점유율을 보인 곳은 대형마트 와 SSM 및 백화점을 합한 수치로 전체 25.9%에 해당하는 물량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 도매시장을 경유하는 전통적 경로로 24.6% 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형마트 등의 새로운 유통경로가 기존의 도매 시장을 경유하는 전통적 유통경로를 추월한 것 으로 앞으로 이러한 격차는 소비자의 구매장소 변화에 따라 더욱 벌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고등어 유통마진과 유통경로에 대한 분 석결과는 직접 방문을 통한 추적조사법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산지위판장 의존 유통은 동일 하나 그 이후부터의 유통은 차이가 있었다. 소비 지도매시장의 경우 산지로부터 배송된 고등어 는 다시 한 번 경매를 거치게 되는데, 산지에서 선별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경매를 거치게 되 므로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 중도매인의 거 래선에 따라 도매상 및 소매상으로 유통되게 된 다.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산지위판장으로부터 배송된 고등어를 FDC(신선식품유통센터)로 보 내게 되며 여기에서 필요에 따라 분류되어진 고등어는 지역단위 지점으로 보내져 판매되어진 다. 이처럼 소비지도매시장 유통은 도매법인, 중 도매인, 도매상 등의 유통이윤(상업이윤)이 높 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대형마트는 벤더와 유 통센터의 물류기능이 중심으로 벤더 유통비용 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차이가 발 생하고 있었다.
셋째, 고등어 경로별 유통효율 비교에서는 유 통마진율은 수산물 전문소매점이 52.0%의 마진 과 대형할인점이 43.1%의 마진이 발생하였고, 유통비용율의 경우 수산물 전문소매점에서 19.2%의 비용과 대형할인점 18.1%의 비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유통이윤율은 수산물 전문소매 점이 32.6%의 이윤이 발생했고 대형할인점에서 25.0% 이윤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적으로 총 비용효율은 수산물 전문소매점(3.07) 보다는 대형할인점(4.0)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유통성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벤더와 소비지 도매법인, 중도매인의 역할과 기능 차이 를 살펴보았다. 조사결과, 전통적, 본원적 기능 이라 할 수 있는 수집, 선별, 평가, 금융기능에서 는 소비지도매시장의 도매법인과 중도매인이 약간 높거나 비슷한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나머지 부분, 즉 새롭게 요구되는 기 능(시장개척기능, 제품개발기능, 통합물류기능, 마케팅기능, 원료확보 및 재고관리기능, 투자기 능, 무역기능)에 대해서는 벤더가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비지도매시 장 구성원과 벤더와의 기능과 역할의 차이는 많 은 부분에서 벤더가 폭넓게 활동하며 다양한 기 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산물 유통효율성 제 고 방안에 제공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대형할인점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시장에서 소비지도매시장의 역할과 기능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형할인점 및 대형유통업 체들이 도매시장을 통한 구매비중을 축소하는 대신 수산물 구매의 효율성과 상품구색을 확보 하기 위한 벤더의 활용을 확대한 결과로서 소비 지도매시장 구성원의 기능과 역할이 점차 축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벤더의 역할 증 대에 따른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들의 점유율 감소 및 역할과 기능 축소는 기존의 선어중심의 도매시장 체계에서 대규모 자본력과 정보력을 앞세운 대형할인점 및 유통업체의 등장으로 새 로운 유통체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를 위해서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의 차별 적인 노력으로 시장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점차 축소되고 있는 소비지도 매시장의 점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 원들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통한 소비지도매시장의 체질개선 나아가 제도권 유통체계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대표적 일시다획성 어종인 고등어조차도 소비지도매시 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은 제도권 유통이 더 빠른 속도로 재편될 수 있으며, 산지시장 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들 의 기능과 역할의 확장성에 중점을 두고 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하며, 소비지도매시장 구성원 들은 유통의 가치사슬 변화를 이해하고 시장경 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할 단계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이 같은 유통경로 간 유통효 율성 및 유통성과 분석을 고등어 이외의 다양한 어종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독특한 유통 경로를 구축하고 있는 수산물들을 탐색하여 이 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유통효율성과 유통성과 는 무엇인지 규명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Reference
- Cooper, R. and Kaplan, R. S. (1988),"Measure costs right: make the right decisions,"Harvard business review, 66 (5), 96-103.
- Jeon, C. G. (1998),"An Analysis on the Marketing Channels and Margin over Marine Products,"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15 (2),141-158.
- Jang, Y. S. (2004),"Fisheries Marketing Management Effectiveness of Discount Store,"The Journal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5 (1), 169-191.
- Jang, Y. S. and Park. K. H. (2005),"A Study of Information system Effects on the Trust between Wholesale Market Company and Intermediary Wholesaler in SeaFood Market,"The Journal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6 (2), 1-24.
- Jang, Y. S. (2011)「Seafood Market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S.
- Kang, J. H. (2014),"Changes and Implications of the Fishery Products Distribution Structure in the Channels of Fisheries Marketing,"Ocean policy research, 29 (1), 129-151
- Kang, J. H. (2014),"A Study on Problems and Solutions for Trading System of Fishery Products Wholesale Market in Korea,"The Journal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5 (1), 79-93.
- Lee, K. W. (2000),"A Study on Improving the Fisheries Products Distribution Structure",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1 (1), 33-54.
- Lee, N. S. (2006),"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Structure of Aquacultural Flatfish,"The Journal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37(2), 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