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1011(Print)
ISSN : 2288-1727(Online)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47 No.3 pp.53-69
DOI : httpS://doi.org/10.12939/FBA.2016.47.3.053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 and Benefit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Seok-Kyu Ka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si, 63243, Korea
*Corresponding author : +82-64-754-3120, kangsk@jejunu.ac.kr
10 Septembe 2016 28 September 2016 29 September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cosystem service and benefit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Ecosystems of natural seaweed beds provide a wide range of services and benefits to human society including provisioning services, regulating services, supporting services, and cultural services. Indicators for each of the ecosystem services are chosen by marine plants ecologists and as follows. Ecosystem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for provisioning services are well-being food(amount of seaweed harvested/amount of fish landed, fish biomass, area of natural seaweed beds, the number of species, contribution to the second production), raw materials(amount of biomass by breed, amount of aquaculture feed), genetic resources(amount of genetic material extracted, amount of genetic material contained by age and habitat), and medicinal resources(amount of medicinal material extracted). Ecosystem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for regulating services are air purification(amount of fine dust/NOx or SO2 captured), climate regulation(amount of CO2 sequestered), waste treatment(amount of N, P stored, biochemical degradation capacity COD), and costal erosion prevention(length and change of natural coast line, amount of sediment prevented). Ecosystem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for supporting services are lifecycle and maintenance(primary production, contribution to the second production) and gene pool protection(amount of compositional factors in ecosystem, introduced species). Ecosystem indicators of natural seaweed beds for cultural services are recreation and tourism(the number of visits of an area) and information for cognitive development(amount of time spent in education, research and individual learning about ecosystem of natural seaweed beds).

천연 해조장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석규*
제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Ⅰ. 서 론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우리 사회에 제공하는 서비스 및 편익을 정량화 할 수 있도록 천연 해조장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탐색하고자 한다.
    천연 해조장(natural seaweed beds)은 자연적으로 바다에 형성되어 있는 해조류의 군락을 일컫는 것 으로 일정 수심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다숲(marine forest)이나 해중림(submarine forest)을 말한다. 천연 해조장은 직접적으로 우리 인간에게 식이섬유와 미네랄이 풍부한 웰빙 음식을 제공하 고, 알긴산, 베타카로틴, 라미나란 등의 기능성 물질로 구성된 의약품을 제공한다. 또한 간접적으로 연안생태계의 중요한 일차생산자로서 물질순환의 중심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 또는 무척 추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으로서 군집의 2차 생산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산화탄 소의 흡수뿐만 아니라 오염된 해역의 환경을 정화하여 퇴화된 수산자원 생태계의 복원과 균형을 유 지하고, 바이오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익한 천연 해조장은 언제부턴가 사 라지고, 그 자리에 갯녹음이 발생하여 어업의 피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산자원 생태계의 균형을 깨고 있는 실정이다.
    갯녹음에 의한 바다 사막화의 진전으로 생태계 변화, 생물다양성 훼손 문제 등에 대응하여 중앙정 부와 지자체는 2002년부터 갯녹음이 심화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해중림 조성사업을 해왔다. 이와 더 불어 중앙정부는 수산자원관리법 제2조 제1항 제6호에 바다숲에 대한 개념을“갯녹음(백화현상) 등 으로 해조류가 사라졌거나 사라질 우려가 있는 해역에 연안 생태계 복원 및 어업생산성 향상을 위하 여 해조류 등 수산종자를 이식하여 복원 및 관리하는 장소”라 명문화하여 수산자원의 보호·회복 및 조성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대규모 바다숲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추진된 바다숲 사업은 갯녹음에 대응하여 수중에 인위적으로 유용한 해조류를 이식·부착 하여 해양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마을 어장내에 갯녹음 확산을 억제하고 더 나아가 생태계 복원에 의한 수산생물의 산란장, 서식장 조성을 통하여 수산자원의 증강, 어업생산력 증대에 따른 어업인의 안정적인 소득에도 기여해 오고 있다. 또한 풍부한 어장의 조성은 해수욕, 해변경관 감상, 청정수산 물 구매·시식 등 단순한 해양관광활동에서 벗어나 유어 낚시나 스킨 스쿠버 등 해양레저활동을 즐기 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여 해양체험관광수요의 확산에도 크게 일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뿐 만 아니라 바다숲 사업은 앞으로 해조류가 탄소 흡수원으로 인증받는다면, 2020년 전망치(BAU) 대 비 30% 감축하는 국가 온실가스 중기 감축목표를 지니고 있는 정부의 온실가스 저감노력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해조장이 우리사회에 제공하는 서비스 및 편익을 정량화 할 수 있도록 천연 해조장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직접적으로 천연 해조장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수산 자원조성사업의 경제적 가치평가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바다숲 사업이 연안 생태계 복원 등 공익을 위한 국가인프라 사업으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수산자원 생태계 복 원사업의 효율적인 관리 및 운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천연 해조장 등 수산자원 생태계 서비스를 UN이나 유럽 등 국제표준(global standard)에 맞도록 분류 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수산자원조성사업의 정 책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 정책입안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Ⅱ. 해양 생태계의 기능 및 서비스

     
    천연 해조장은 수산자원 생태계의 중요 환경자원으로서 우리 인간사회에 다양한 유·무형의 서비 스(재화 포함)를 제공하고 있다.
    생태계가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에 대한 개념은 Ehrlich and Ehrlich(1981)가“생태계 서비스”라 는 용어를 만든 이후 De Groot(1992), Costanza et al.(1997), De Groot et al.(2002), Daly and Farley(2004) 등의 연구에서 본격화 되었으며,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의 주 도하에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지구생태계 진단보고 서인 새천년생태계평가(MEA, Mille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와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의 경 제성 계획(TEEB,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programme, 2010) 등의 연구보고서를 거치면서 구체화 되어 왔다.
    Costanza et al.(1997)은 생태계 서비스를 생태계 기능으로부터 인간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끌 어내는 편익이라고 정의하고, 생태계 서비스를 <표 1>과 같이 가스조절, 기후조절, 재해조절, 물 조절, 물 공급, 침식조절 및 침전물 보류, 비옥토양 형성, 영양분 순환, 폐기물 처리, 화분수정, 생물학적 방 제, 서식처 제공, 식량생산, 원료, 유전자원, 휴양, 문화 등 17개 생태계서비스로 분류하고 있다. 주요 생태계 서비스를 살펴보면, 가스조절 서비스는 CO2/O2 균형 등을 통해 대기 화학물질 조성의 조절기 능을 제공하며, 기후조절 서비스는 온실효과 조절, 구름형성에 영향을 주는 에탄 화합물 형성 등을 통해 지구의 온도, 강수량, 지구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생물학적으로 연계된 기후변화과정의 조절 기능을 한다. 재해조절 서비스는 폭풍으로부터 보호, 홍수조절 기능, 인간의 서식처 보호 등 환경변 화에 대응하는 생태계의 용량/수용능력 보전기능을 제공한다. 영양분 순환 서비스는 질소고정, 질소 (N) 및 인산(P) 등의 영양분 순환을 통해 영양분의 저장, 재생, 가공 및 획득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유 전자원 서비스는 의약품, 재료과학을 위한 산물, 식물병충해에 저항성 유전자, 화훼종을 통해 독특한 생물적인 재료 및 산물의 근원지를 제공한다. 휴양 서비스는 생태관광, 스포츠용 낚시 등을 통해 여 가활동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문화 서비스는 심미적, 예술적, 교육적, 영적, 생태계의 과학적 가치 등을 통해 비상업화된 이용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표 1> Costanza et al.(1997)의 생태계 서비스 분류 체계
     
    한편, De Groot et al.(2002)은 <표 2>와 같이 생태계 기능을 조절기능(regulation functions), 서식처기 능(habitat functions), 생산기능(production functions), 정보기능(information functions)으로 범주화하고 23개의 개별기능으로 분류하고 있다. MEA(2005)와 TEEB(2010)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생물 군계 생태계 서비스의 편익을 공급서비스(provisioning services), 조절서비스(regulating services), 문화 서비스(cultural services), 지지서비스(supporting services) 등의 4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그 범주 내에 개별서비스를 분류·정리하고 있다.
     
    <표 2> De Groot et al.(2002)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 분류체계
     
    TEEB(2010)은 <표 3>과 같이 생태계 기능을 공급서비스(provisioning services), 조절서비스 (regulating services), 문화서비스(cultural services), 지지서비스(supporting services) 등의 4개로 범주화 하고 22개의 개별기능으로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공급서비스는 생태계가 인간에 의해 소비되고 다 른 재화의 생산에 이용되는 생산물이나 재화형태를 제공하는 편익을 말하며, 음식, 연료, 물, 유전자 원 등이 속한다. 조절서비스는 생태계의 자연 통제과정에서 발생하는 편익으로서 공기정화, 기후조 절, 재해방지, 질병통제 등이 이에 속한다. 문화서비스는 레크리에이션, 정서적 가치 및 심미적 쾌락 과 같이 사람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비물질적인 편익을 말한다. 지지서비스는 다른 생태서비스 생산 에 기반이 되는 편익을 말하며, 광합성, 영양분 순환, 기초 생산력, 생물의 다양성 등이 속한다.
     
    <표 3> TEEB(2010)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 분류체계
     
    유 럽 환 경 청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3)의 생 물 군 생 태 계 서 비 스 분 류 방 식 CICES(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V4.3은 기존의 생태계서비스 분류방 식에 나타날 수 있는 생태계 기능, 생태계 서비스, 생태계 편익개념의 혼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최종 생태계 서비스, 생태계 재화 및 편익, 인간 웰빙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HainesYoung and Potschin, 2013).
     
    -최종 생태계 서비스(final ecosystem service)는 가장 직접적으로 인간의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생 태계의 최종 산출물을 말한다. 기본적인 특징은 생태계 서비스가 그 생태계 서비스를 생성하는 기초 생태계 기능, 과정 그리고 구조와 연결되어 있는 점이다.
    -생태계의 재화 및 편익(ecosystem goods and benefits)은 사람들이 최종 생태계 서비스로부터 창조 하거나 파생된 것들이며, 생태계의 최종 산출물은 기능적으로 생태계와 관련없는 생산물이나 경험으로 변환된다. 재화 및 편익은 전적으로‘생산물’이라 언급될 수 있다.
    -인간 웰빙(human well-being)은 자유로운 선택 및 행동, 건강, 유익한 사회관계 및 안전을 유지함 으로써 건강한 삶에 필요한 기본적 물질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발생하며, 웰빙의 상태는 웰빙의 지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생태계 재화 및 편익의 총산출물에 달려 있다.
     
    유럽환경청(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3)의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 CICES V4.3은 <표 4> 와 같다.
     
    <표 4> 유럽환경청의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 CICES V4.3*
    자료 : Haines-Young and Potschin(2013), 일부 수정.
     
    <표 4>와 같이 CICES V4.3은 생태계 서비스를 섹션(section), 디비전(division), 그룹(group), 클래스 (class)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다. 공급, 조절 및 유지, 문화 등 3개의 섹션(section)과 영양, 재료, 에너지, 폐기물, 유독, 기타유해물의 조절, 흐름의 조절, 물리, 화학, 생물 및 무생물적 조건의 유지, 육체 및 지 적 상호작용, 정신, 상징 및 기타 상호작용 등 8개의 하위 부문(division)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Böhnke-Henrichs et al.(2013)은 <표 5>와 같이 기존의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에 나타날 수 있는 생 태계 서비스, 생태계 기능, 생태계 편익 개념의 혼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복된 생태계 서비스 범주화로 나타나는 중복계산(double counting), 생태계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생태계 서비스 형태 등을 해결하는 수정된 해양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 서비스 지표, 직접적 편익을 제안하고 있다. 예 를 들면, 해산물 등 공급서비스는 음식물로서 인간소비목적으로 해양환경으로부터 채집된 모든 이 용가능한 해양동식물을 말하며, 지표로써 어획 양륙량, 연간 단위당 어획량 등이 있다.
     
    <표 5> Böhnke-Henrichs et al.(2013)의 해양 생태계 서비스 분류, 지표 및 편익
    <표 5> 계속
    자료 : Böhnke-Henrichs et al.(2013).
     
    <표 6>과 같이 Hattam et al.(2015) 역시 해양 생태계 서비스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있는 데, 음식물을 자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여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표 6> Hattam et al.(2015)의 해양 생태계 편익 및 지표
    <표 6> 계속
    자료 : Hattam et al.(2015), 일부 수정.
     
    <표 7> Posidonia oceanica 해초지의 생태계 서비스 및 경제적 편익
    * 는 추정가능한 경제적 편익
    자료:Campagne et al.(2015), 일부 수정.
     
    또한 Campagne et al.(2015)은 유럽환경청(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13)에 의해 개발되고, 유 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2013)에 추천하고 있는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 CICES V4.3에 의해 해초 Posidonia oceanica의 생태계 서비스와 경제적 편익을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공 급 section에서 재료, 바이오지표, 산업오수흡착제, 양식사료 등 재료를 제공하며, 조절 및 유지 section에서 ① 폐기물, 유독, 기타 유해물의 조절 ② 흐름의 조절 ③ 물리, 화학, 생물적 조건 유지 등 의 division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달리,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2015)은 <표 8>과 같이 바다숲 생태계의 공익적 기능을 연안생 태계 회복, 온실가스저감, 바이오에너지원, 웰빙식품, 기능성물질, 오염물질정화 등 6개의 기능에 따 른 기대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표 8>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바다숲 생태계 공익적 기능
     

    Ⅲ. 천연 해조장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

     
    이 장에서는 앞의 해외문헌과 해조 생태 분야 분야의 전문가 자문에 의하여 천연 해조장 생태계의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바다숲 생태계 6대 공익적 기능을 토대로 TEEB(2010), Böhnke-Henrichs et al.(2013)의 해양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정리하면 <표 9>와 같이 제시할 수 있다.
     
    <표 9> Böhnke-Henrichs et al.(2013) 분류방식에 따른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
     
    <표 9>에 따르면, 바다숲 생태계는 혈당조절 및 동맥경화 예방 등의 웰빙식품, 바이오매스 등의 원재 료, 베타카로틴, 알긴산, 라미나란 등의 기능성 물질 의약자원, 수산식물종자 등의 유전자원 등 4종의 공급서비스, CO2/O2의 균형 등의 공기정화, 탄소저감 등의 기후조절, 질소, 인, 중금속 물질 흡수 등의 오염물질정화, 사구유지 등의 침식방지 등 4종의 조절서비스, 광합성, 영양분 순환 등을 통한 연안 생 태계 회복 등의 생명순환 유지 및 유전자 공급원 보호 등 2종의 지지서비스, 레크리에이션/관광, 인식 개발정보 등 2종의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들 서비스 제공에 따른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바다숲 생태계 6대 공익적 기능을 토대로 유럽환경청(EEA)의 생태계 서 비스 분류방식 V4.3에 기초하여 Campagne et al.(2015) 등의 분류방식을 토대로 정리하면 <표 10>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는 해조식품, 수산식품 등 웰빙식품, 약리화학물질(알긴 산, 베타카로틴, 라미나란, 후코이딘 등), 양식사료, 수산식물 종자, 바이오메스에너지 등 영양, 재료, 에너지 3종의 공급서비스, 수질정화, 영양 및 오염저감, 갯녹음 개선, 바다숲에 의한 파력과 조류 감 소, 많은 어종의 서식, 보육, 산란처, 은신처 등의 어장제공, 보호어종의 서식, 바다숲의 안정화와 견 고함, 용존산소 제공, 영양순환 제공, CO2/O2의 균형, 황산화물(SOx) 수준의 조절, 탄소흡수 및 저감 등 폐기물, 유독, 기타유해물의 조절, 흐름의 조절, 물리, 화학, 생물적조건의 유지 3종의 조절 및 유지 서비스, 바다숲관광(스노클링과 해중잠수함관광), 바다숲 상업낚시, 여가낚시, 연구주제, 교육기회, 문화가치 및 유산, 예술적 영감, 미래 세대를 위한 보전 등 육체 및 지적 상호작용 및 정서, 상징 및 기 타 상호작용 2종의 문화서비스를 제공한다.
     
    <표 10> 유럽환경청(EEA)의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에 따른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
     
    <표 11>은 국내 저명한 5명의 해조 생태계 전문가에게 해외문헌에서 발굴하고 있는 해양 및 해초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제시하고, 국내 천연 해조장 생태계의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자문을 통해 그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나타낸 국내 천연 해조장 상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나타낸다.
     
    <표 11>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나타낸다. 앞에서 언급한 해양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 지표를 5명의 해조류 전문가에게 제시하고 그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나타낸 지표이다.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는 공급서비스(지표)는 웰빙식품(해조류채취량, 어획량, 어류생체량, 천연 해조장 면적, 면적당 해조류 생체량, 출현종, 품종별 해조류의 2차생산량공헌도), 원재료(품종 별 바이오매스, 해조류의 양식사료량), 유전자원( 계절별 추출 가능한 유전물질의 정량 지표, 서식 연 령대별 유전물질의 함량), 의약자원(추출 가능 물질의 함유량 정량)이며,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 하는 조절서비스(지표)는 공기정화(해역별 해조품종별 특정물질 이용 및 흡수 가능량에 대한 정량), 기후조절(해역별 해조품종별 이산화탄소저감량), 오염물질정화(유입된 오염물질을 정화 및 저감할 수 있는 생물 구성 인자의 유무 파악, 해조품종별 유입오염물질(N, P)의 정화능력, COD 저감 능력), 침식방지(천연 해조장지역 해안선변화유무파악, 해안개발에 의한 침식, 퇴적 등의 정량적 자료), 천 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는 지지서비스(지표)는 생명순환유지(품종별 해조류의 기초생산량, 먹이 원이 되는 생물군의 정량 자료:품종별 해조류의 2차생산량공헌도), 유전자공급원 보호(생태계 구 성 인자의 구성 종류, 밀도, 피도 등의 정량, 외래종, 유입종 등의 유무),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 는 문화서비스는 레크리에이션/관광(천연 해조어장 방문유어객수/다이버 수), 인식개발정보(생태계, 어종 등에 관한 교육, 연구, 현장체험 등에 소요된 시간의 양)이다.
    이와 같이 천연 해조장은 우리 인간 사회에 다양한 서비스 및 편익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를 UN이나 유럽 등 국제표준(global standard)에 맞도 록 분류하고, 정량화 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천연 해조장은 수산자원 생태계의 중요 환경자원으로서 우리 인간사회에 다양한 유·무형의 서비스(재화 포함)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바다숲 생태계 6대 공익적 기능을 토대 로 TEEB(2010), Böhnke-Henrichs et al.(2013) 등의 해양 생태계 서비스 분류방식에 따라 재분류하면, 천연 해조장 생태계는 혈당조절 및 동맥경화 예방 등의 웰빙식품, 바이오매스 등의 원재료, 베타카로 틴 등의 의약자원, 수산식물종자 등의 유전자원 등 4종의 공급서비스, CO2/O2 균형 등의 공기정화, 탄 소저감 등의 기후조절, 질소, 인, 중금속 물질 흡수 등의 오염물질정화, 사구유지 등의 침식방지 등 4 종의 조절서비스, 광합성, 기초생산 등을 통한 연안 생태계 회복 등의 생명순환 유지 및 유전자 공급 원 보호 등 2종의 지지서비스, 레크리에이션/관광, 인식개발정보 등 2종의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들 서비스 제공에 따른 편익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천연 해조장의 생태계 서비스 및 편익지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천연 해조장 생태 계가 제공하는 공급서비스(지표)는 웰빙식품(해조류채취량(kg)/ha/yr, 어획량(kg)/ha/yr, 어류생체량 (g/m2 ), 천연 해조장 면적, 출현종, 품종별 해조류의 2차생산량공헌도), 원재료(품종별 바이오매스, 해 조류의 양식사료량), 유전자원(계절별 추출 가능한 유전물질의 정량 지표, 서식 연령대별 유전물질 의 함량), 의약자원(추출 가능 물질의 함유량 정량)이며,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는 조절서비스 (지표)는 공기정화(해역별 해조품종별 특정물질 이용 및 흡수 가능량), 기후조절(해역별 해조품종별 이산화탄소저감량(g C/m/yr)), 오염물질정화(해조품종별 유입오염물질(N, P)의 정화능력), 침식방지 (천연 해조장지역 해안선변화유무파악, 해안개발에 의한 침식, 퇴적 등의 정량적 자료),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는 지지서비스(지표)는 생명순환유지(품종별 해조류의 기초생산량, 먹이원이 되는 생물군의 정량 자료:품종별 해조류의 2차생산량공헌도), 유전자공급원 보호(생태계 구성 인자의 구성 종류, 밀도, 피도 등의 정량, 외래종, 유입종 등의 유무), 천연 해조장 생태계가 제공하는 문화서 비스는 레크리에이션/관광(천연 해조어장 방문유어객수/다이버 수), 인식개발정보(생태계, 어종 등 에 관한 교육, 연구, 현장체험 등에 소요된 시간의 양)이다.
    본 연구는 천연 해조장의 가치를 올바르게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천연 해 조장의 생태계 서비스를 UN이나 유럽 등 국제표준에 맞도록 분류하고, 정량화 할 수 있는 생태계 서 비스 및 편익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수산자원조성사업의 정책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 정책입 안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Figure

    Table

    Reference

    1. 강석규 외 (2015),"천연 해조장의 생태적 가치평가: 해외사례분석과 평가방법",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2. Beaumont, N., Townsend, M., Mangi, S. and Austen, M. (2006), Marine Biodiversity of an Economic Valuation: Building the Evidence Base for the Marine Bill, UK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p. 73. http://www.earthmind.net/marine/docs/uk-marine-valuation.pdf (accessed 16.04.11.).
    3. Bell, F. W. (1986),"Economic policy issues associated with beach renourishment,"Policy Stud. Rev, 6, 374-381.
    4. Bell, F. W. and Leeworthy, V. R. (1986),"An Economic Analysis for the Importance of Saltwater Beaches in Florida. Department of Economics,"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5. Bell, F. W. (1997),"The economic valuation of saltwater marsh supporting marine recreational fishing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Ecological Economics, 21 (3), 243-254.
    6. Böhnke-Henrichs, A., de Groot, R., Baulcomb, C., Hussain, S., Koss, R. and Fofana, A. (2013),"Typology and Indicators of Ecosystem Service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and Management,"Journal of Environment Management, 130, 135-145.
    7. Cameron, T. and James, M. (1987),"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contingent valuation surveys,"Rev. Econ. Stat, 69, 269-276. Campagne, C. S., Salles, J. M., Boissery, P. and Deter, J. (2015),"The seagrass Posidonia oceanica: Ecosystem services identification and economic evaluation of goods and benefits,"Marine Pollution Bullertin, 97, 391-400.
    8. Cesar, H. (1996). Economic Analysis of Indonesian Coral Reefs. Available via. World Bank, http://siteresources. worldbank.org/INTEEI/214574-1153316226850/20486385/EconomicAnalysisofIndonesian CoralReefs1996.pdf (accessed 03.09.12.).
    9. CICES (2013). CICES V4.3 (January 2013). CICES for ecosystem service mapping and assessment. .
    10. Costanza, R., d'Agre, R., de Groot, R.,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 V., Paruelo, J., Raskin, R. G., Sutton, P. and Belt, M. (1997),"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Nature, 387, 253-260.
    11. Daly, H. E. and Farley, J. (2004), Ecological Economics,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12. De Groot, R. S. (1992),"Functions of Nature: Evaluation of Nature in Environmental Planning,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Wolters-Noordhoff, Groningen, 315.
    13. De Groot, R. S, Wilson, M. and Boumans, M. J. (2002),"A Typology for the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Valuation of Ecosystem Functions, Goods and Services,"Ecological Economics, 41, 393-408.
    14. Dehghani, M., Farshchi, P., Danekar, A., Karami, M. and Aleshikh, A. A. (2010),"Recreation value of Hara biosphere reserve using willingness-to-pay method,"Int. J. Environ. Res. 4, 271-280.
    15. Ehrlich, P. R. and Ehrlich, A. H. (1981), Extincti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disappearance of species. 1st edition. Random House, New York. xiv.
    16. Erwin, P. M., López-Legentil, S. and Schuhmann, P. W. (2010),"The pharmaceutical value of marine biodiversity for anti-cancer drug discovery,"Ecol. Econ. 70, 445-451.
    17. Haines-Young, R. and Potschin, M. (2013),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ICES): Consultation on Version 4, August-December. EEA Framework Contract No. EEA/IEA/09/003.
    18. Hattam, C., Atkins, J. P., Beaumont, N., Börger, T., Böhnke-Henrichs, A., Burdon, D., de Groot, R., Hoefnagel, E., Nunes, P., Piwowarczyk, J., Sastre, S. and Austen, M. C. (2015),"Marine ecosystem services: Linking indicators to their classification,"Ecological Indicators, 49, 61-75.
    19. Hunsicker, M. E., Essington, T. E., Watson, R. and Sumaila, U. R. (2010),"The contribution of cephalopods to global marine fisheries: can we have our squid and eat them too?,"Fish and Fisheries, 11, 421-438.
    20. Gao, L. and Hailu, A. (2011),"Evaluating the effects of area closure for recreational fishing in a coral reef ecosystem: the benefits of an integrated economic and biophysical modeling,"Ecol. Econ. 70, 1735-1745.
    21. Jialin, L., Dianfa, Z., Xiaoping, Y. and Yiqing, T. (2009),"Effects of land use changes on values of ecosystem functions on coastal plain of south Hangzhou bay bank,"China. Afr. J. Agri. Res. 4, 542-547.
    22. Kasperski, S. and Wieland, R. (2009),"When is it optimal to delay harvesting? the role ofecological services in the northern Chesapeake Bay oyster fishery,"Resou. Econ. 24, 361-385.
    23. Lange, G. M. and Jiddawi, N. (2009),"Economic value of marine ecosystem services in Zanzibar: implications for marin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Ocean Coast. Manage. 52, 521-532.
    24. MEA (2005a),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Biodiversity Synthesis. World Resources Institute, Washington, DC.
    25. MEA (2005b), Chapter 5-Biodiversity in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Policy Responses, 3, Island Press.
    26. O'Higgins, T. G., Ferraro, S. P., Dantin, D. D., Jordan, S. J. and Chintala, M. M. (2010),"Habitat scale mapping of fisheries ecosystem service values in estuaries,"Ecol. Soc. 15.
    27. Ruijgrok, E. C. M., Smale, A. J., Zijlstra, R., Abma, R., Berkers, R. F. A., Nemeth, A. A., Asselmann, N., de Kluiver, P. P., de Groot, R., Kircholtes, U., Todd, P. G., Buter, E., Hellegers, P. J. G. J. and Rosenberg, F. A. (2006). Kentallen waardering natuur, water, bodem en landschap; hulpmiddel bij MKBA's. Witteveen+Bos, Rotterdam, p. 263.
    28. Souza, F. E. S. and Ramos e Silva, C. A. (2011),"Ecological and economic valuation of the Potengi estuary mangrove wetlands (NE, Brazil) using ancillary spatial data,"J. Coast. Conserv, 15, 195-206.
    29. Tapsuwan, S. and Asafu-Adjaye, J. (2008),"Estimating the economic benefit of SCUBA diving in the Similan Islands,"Thailand. Coast. Manage, 36, 431-442.
    30. TEEB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edited by Pushpam Kumar.
    31. UNEP (2014), Guidance Manual on Valuation and Accounting of Ecosystem Services for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Ecosystem Services Economics Unit, Division of Environment Policy Implementation.
    32. UNEP-WCMC (2011), M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Biodiversity Series, 33, 1-46.
    33. Wang, X., Chen, W., Zhang, L., Jin, D. and Lu, C. (2010),"Estimating the ecosystem service losses from proposed land reclamation projects: a case study in Xiamen,"Ecol. Econ, 69, 2549-2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