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5-1011(Print)
ISSN : 2288-1727(Online)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ol.56 No.1 pp.19-37
DOI : https://doi.org/10.12939/FBA.2025.56.1.019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by Seafood Export Companie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Hye-Jin Park1, Ji-Ung Kim*
1Associate Research Fellow, Fisheries Policy Implementation Department, Korea Maritime Institute, Busan, 49111, Rep. of Korea
*Professor, Division of Marine & Fisheries Business and Economics, College of Fisheries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Rep. of Korea

본 논문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외시장분석센터사업 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 Corresponding author : https://orcid.org/0000-0002-5904-6711, +82-51-629-5962, jio@pknu.ac.kr
22/11/2024 ; 21/12/2024 ; 25/12/2024

Abstract


In the evolving global food industry,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have become essential for seafood export companies to ensure product safety, quality, and sustainability, as well as to meet consumer demands and regulatory standards. This study analyzes the decision-making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mong Korean seafood export companie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earch surveyed 134 seafood export companies, focusing on six key factors: corporate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input factors,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any capabilities, and external relationships. The decision tre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corporate characteristics, the size of sales revenue, number of employees, and proportion of exports were found to play significant roles. For environmental factors, specific demands from overseas buyers, shifting consumer preferences, and compliance with global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major impact. Regarding input factors, certification costs, validity periods, and investments in processing facilities were revealed to be critical variables.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managerial support and dedicated personnel, capability factors like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nd processing system capac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cluding partnerships with certification and export support agencies were also critical in the certification process. This study identifie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acquiring and maintaining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mong Korean seafood export companies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detailed variables for the first time. Additionally, it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oriented implications to promote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as part of efforts to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eafood.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in seafood export companies.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결정 요인 분석

박혜진1, 김지웅*
1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정책사업본부 부연구위원
*국립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해양수산경영경제학부 교수

초록


    I. 서 론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수산물 수출기업들은 제품의 품질, 안전성, 환경친화 등을 보장하는 다양한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증 중 일부는 수출국 규제 준수를 위한 필수 요건일 뿐만 아니라, 글로벌 소비자들의 신뢰를 구축하고 시장 접근성을 확대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특히 수산물을 포함한 식품시장에서는 친환경, 유기농, 종교 ㆍ문화,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성향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관련 인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미국, EU 등 주요 수출국이자 선진국에서는 국제 인증 취득 여부가 거래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식품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국제 인증은 해외시장 진출의 중요한 요소이자 동시에 진입장벽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수출 수산물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국제 인증 취득이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유지하는 과정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며, 기업의 내부 관리 역량과 외부 환경요인에 따라 그 결정이 크게 좌우된다. 일례로 중소기업은 자원 부족으로 인증 취득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반면, 대기업은 해외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높은 비용 부담을 감수하면서도 이를 적극 활용한다. 따라서 기업의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수출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 및 유지 결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활용했다. 연구 대상인 수산물 수출기업은 원물 또는 가공된 형태의 수산동식물을 외국으로 반출하는 경영체로 정의되며, 국제 인증은 국제적인 명성을 바탕으로 업계에서 통상 글로벌 스탠다드로 인증받는 표준 규격을 대상으로 했다. 기존 국제 인증과 관련된 연구는 특정 국제 인증제도가 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와 경영성과(김창봉, 2013), 인증제도의 역할 및 개선방안(주문배 외, 2011) 등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 및 유지 의사결정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을 도출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법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업 특성과 외부 환경요인이 국제 인증 취득 및 유지 의사결정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개념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분석은 데이터 내 존재하는 “관계, 패턴, 규칙 등을 파악하고 발견하여 모형화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이다(김구, 2002). 데이터마이닝에서는 탐색과 변형, 모형화와 평가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에서도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의사결정 규칙을 도표화함으로써 관심 집단을 여러 개의 소집단으로 분류 또는 예측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판별분석과 회귀분석을 조합한 통계기법이다. 이 기법은 측정 자료를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세분화, 그리고 조합에 따른 설명량의 증감 조건들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배정수, 2014).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장점은 연구자의 입장에서 분석 과정을 비교적 쉽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며, 분석의 정확도에 비해 분석 과정에 있어 설명이 더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는데, 변수 선택(많은 수의 예측변수 중 목표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골라내는 방법), 분류(여러 예측변수에 근거하여 목표 변수의 범주를 몇 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백지연, 2020).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경영, 의료,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최종후ㆍ 서두성, 1999).

    2.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구성요소 및 절차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의사결정 규칙을 나무구조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 방법으로, 마치 스무고개처럼 특정 요소에 대해 yes와 no로 나뭇가지처럼 뻗어나가는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다. 나무는 크게 마디(node)와 가지(branch)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모형은 <표 1>과 같이 마디(node)들로 구성된 하향식 나무구조를 가진다(임은정ㆍ정순희, 2015). 즉 나무를 거꾸로 세워 놓은 구조로, 뿌리(root)가 상단에 위치하고, 하단에는 가지(branch)와 잎(leaf)이 연결되어 있다. 의사결정나무는 뿌리마디(Root node)에서 시작되며, 뿌리마디에는 예측 또는 분류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자료집단, 즉 목표변수 전체가 포함된다. 부모마디(Parent node)는 뿌리마디에서 파생되는 마디이며, 자식마디(Child node)는 부모마디로부터 파생된 마디를 의미한다.

    중간마디(Internal node)는 나무 모형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마디로 뿌리마디와 끝마디 외의 나머지를 모두 중간마디로 지칭하며, 모든 중간마디는 자식마디인 동시에 부모마디라고 볼 수 있다. 잎(leaf)은 끝마디(Terminal node)를 뜻하며, 이는 나무 모형의 마지막에 자리하는 마디로, 더 이상 분기되지 않는 최종적으로 분류된 결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마디에서 끝마디까지 연결된 각각의 마디들을 가지(branch)라고 일컬으며, 분류가 완료된 나뭇가지가 어느 수준까지 분류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마디개수를 가지의 깊이(depth)라고 한다. 의사결정 나무 모형은 부모마디에서 하나의 자식마디로 가는 길이 유일하며 그 길을 규칙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형의 진행 방향은 항상 뿌리마디에서 시작하여 끝마디 쪽으로 향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이훈영, 2008). 즉, 나무모형의 최상위에 존재하는 뿌리마디부터 시작하여 의사결정에 따라 결정되는 경로(path)를 통과하는 과정이 끝마디까지 자식마디를 형성함으로써 특정 집단으로 분류되거나 예측된다(임은정ㆍ정순희, 2015).

    일반적으로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표 2>와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기본 원리는 가장 대표적이고 결정적인 속성을 이용하여, 다른 속성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변수를 찾는 것이다(이훈영, 2008). 의사결정나무 분석은 분석의 기본 목적과 자료의 구조에 의해서 분석 방법이 구분되며, 분리기준, 정지규칙, 가지치기 등을 어떻게 지정하는가에 따라 다른 의사결정나무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리기준은 목표변수(종속변수)를 분류하는 예측변수(독립변수)를 사용하여 어떻게 분리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2지 분리는 의사결정나무 분리에서 두 개의 자식노드를 갖는 경우를 말한다. 정지규칙이란 어느 수준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정지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을 말하며, 가지치기란 분류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가지를 제거하거나 마디를 병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알고리즘

    통계분석 방법을 나누는 것은 기본적으로 자료 구조를 보고 판단하는데,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투입 될 변수는 목표변수(종속변수)와 예측변수(독립변수)로 구성된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HAID(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QUEST(Quick, Unbiased, Efficient Statistical Tree)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ART 알고리즘을 사용했다(<표 3>).

    CART는 Briemnan et al.(1984)에 의하여 처음 소개된 알고리즘으로, 순수도(purity)와 불순도 (impurity)로 목표변수의 분포를 구별하는 방법이다. 순수도는 목표변수의 특정 범주에 얼마나 많은 마디들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다양성 지수로,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는 순수도가 가장 크도록 하여 부모마디와 자식마디를 구분한다. 의사결정나무에서는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갈수록 순수도는 증가한다. 순수도의 반대개념이 불순도인데 이를 지니계수(Gini index)라고 부른다. 의사결정나무 분석 구조는 자식마디의 불순도의 가중합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서 부모마디와 자식 마디가 구분되는데, 목표변수는 질적변수와 양적변수인 경우, 예측변수가 질적변수와 양적변수인 경우에 사용된다.

    CHAID는 1970년대 통계학자 Kass가 제안한 알고리즘으로, 목표변수와 예측변수에 연속형, 명목형, 순서형 등 변수 형태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백지연, 2020). 보통 목표변수가 질적변수이거나 양적변수이며, 예측변수는 질적변수인 경우에 사용된다. CHAID에서는 분리기준으로 카이제곱-검정 또는 F-검정을 사용한다. 목표변수가 질적변수(명목척도 또는 서열척도)인 경우에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는데, 카이제곱 통계량이 크며 이에 대한 확률(p)이 α=0.05보다 작은 경우 부모 마디는 자식마디를 형성하게 된다. 목표변수가 양적변수(등간척도 또는 비율척도)인 경우에는 분리기 준으로 F-검정을 사용하는데, F통계량이 크고 이에 대한 확률(p)이 α=0.05보다 작은 경우 부모마디와 자식마디 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QUEST는 CART와 마찬가지로 이지분리(binary split)를 위해서 수행되는 알고리즘이다. 이는 의사 결정나무 분석의 계산 시간이 빨라 복잡한 계산에 자주 사용된다. QUEST는 목표변수가 질적변수이고, 예측변수는 질적변수, 양적변수인 경우에 사용된다. QUEST에서는 예측변수의 척도에 따라 다른 분리기준을 사용한다. 예측변수가 명목척도인 경우에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고, 예측변수가 서열척도나 양적척도인 경우는 F-검정 또는 Levene-검정을 이용한다.

    4. 선행연구 검토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한 선행연구는 주로 특징적인 예측 모형을 개발하거나 행동유형을 탐색하고 예측하려는 논문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즉 결정요인 도출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황진수(2005)는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해 여행행태, 쇼핑행태, 쇼핑 시 중요속성, 인구 통계학적 사항이 일본인 쇼핑관광객의 상품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김정수(2009)는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했으며, 조장식(2010)은 학업성취도와 대입전형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을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박준호 외(2011)는 벤처기업의 입지 선택에 있어 주요 영향변수를 도출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하고, 업종 및 지역별 입지 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류하였다. 이문영(2013)은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활용하여 교통사고의 요인분석을 시도했다. 임은정 외(2013)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취업 결정요인을 분석했고, 유은영 외(2014)는 공연예술 시장의 소비자 그룹에 대해 관람유무와 좌석등급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했다.

    배정수(2014)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우선순위를 살펴봤고, 이춘화(2018)는 직장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여 직장유형과 근무형태에 따른 요인 간 차이를 분석했다. 백지연(2020)은 벤처캐피탈 리스트의 개인특성 중 투자 의사결정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구했고, 이민아(2020)는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을 목적으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사용했으며, 김윤서(2022) 는 대체육 구매 결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영향력이 큰 결정요인에 관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Ⅲ. 연구 설계1)

    1. 조사 대상 및 기간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 연구와 실무자 면담,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각 변수의 개념을 파악하고,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산물ㆍ수산식품에 적용 가능한 인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개요는 <표 4>와 같다. 설문조사는 2023년 9월 4일부터 9월 2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온라인 및 1:1 대면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했다. 조사 대상은 최근 6년간(2017~2022년) 해양수산부의 국제 인증 취득 지원사업을 통해 인증을 취득한 291개 사와 해양수산부의 수산식품 수출지원 플랫폼에 가입한 수산물 수출기업 750개 사로 설정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 기업 전체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이후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기업 8개 사에 대해 1:1 대면 면담조사를 추가로 실시했다. 최종적으로 134개(인증 취득 기업 100개, 미취득 기업 34개)의 표본을 획득하여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활용했다.

    2. 조사 내용 및 방법

    설문지는 크게 ① 기업정보, ② 국제 인증 취득 정보, ③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누어 구성했으며, 기업 정보는 총 14문항으로 수산물 수출 여부와 소재지, 규모, 종사자 수, 기업 유형, 매출액 등 기초 사항에 대해 질문했다.

    국제 인증 취득 정보의 경우, 총 3문항으로 기초 인증인 HACCP을 제외한 국제 인증을 현재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는지, 해외 수출을 위해 과거 취득했거나 현재 보유 중인 국제 인증은 무엇인지, 향후 국제 인증을 적극적으로 취득 또는 유지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제 인증을 취득하거나, 유지하는 의사결정을 내릴 때 어떤 요인이 가장 중요한가에 대해 총 27문항으로 구성했다. 환경요인(6문항), 투입요인(6문항), 조 직요인(5문항), 역량요인(5문항), 관계요인(5문항)의 5가지 요인 및 27개 변수에 대하여 중요도와 관련한 리커트 5점 척도를 통해 세부적으로 조사했다.

    3. 표본의 특성

    설문에 응한 134개 사의 기업 소재지는 전라도(29.1%), 경상도(15.7%), 부산/울산(13.4%), 경기도(11.2%) 등으로 지역별 표본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립 연도는 10~20년 미만(35.8%), 5∼10년 미만(23.9%) 순으로 전체 표본의 절반 이상이 20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는 중소기업 (91.8%)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역전담부서의 경우 보유한 기업(47.0%)과 보유하지 않은 기업 (53.0%)의 비중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는 10∼30명 미만(38.1%)이 가장 많으며, 이외 5명 미만부터 100명 이상까지 다양한 표본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유형은 생산부터 가공, 수출까지 진행하는 직접수출업체가 51.5% 로 가장 많았으며, 생산ㆍ가공만 하는 간접수출업체 35.8%, 상사와 같이 수출을 대행하는 수출전문업체 12.7%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매출액은 10억 원 미만부터 1,000억 원 이상까지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자 연령은 50대(37.3%), 60대(26.9%), 40대(23.1%) 순으로 나타나 대다수가 40~60대 중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자 학력은 대학교 중퇴 또는 졸업(63.4%)이 가장 많으며, 대학원 이상 23.1%, 고졸 이하 13.4% 순이었다.

    총 134개 사 중 국제 인증을 취득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89개 사(65.7%)로 나타났으며, 과거 국제 인증을 취득하였으나 현재는 보유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11개 사(8.2%)로 집계되었다. 그리고 국제 인증을 단 한 번도 취득한 적이 없는 기업이 34개 사(26.1%)로 나타나 표본 중 73.9%는 국제 인증을 취득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5>).

    Ⅳ. 실증 분석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의사결정나무 분석 시 활용한 예측변수(독립변수)는 수산물 수출기업이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자 할 때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해당 변수들은 전문가 및 관계자 면담 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했다. 그 결과, 환경요인, 투입요인, 조직요인, 역량요인, 관계요인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당 5~6개의 세부 변수로 구성하여 중요도를 평가했다(<표 6>).

    각 요인 변수의 중요도에 대한 변수 측정은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자 할 때 어떤 요인이 중요한지 변수별로 중요도를 평가해 주십시오.”로 질문하고, 리커트 5점 척도(1: 전혀 중요하지 않다 2: 중요하지 않다 3: 보통이다 4: 약간 중요하다 5: 매우 중요하다)로 측정하였다.

    환경요인은 수출상대국 규정, 바이어 요구, 소비자 선호도, 글로벌 스탠다드 및 트렌드, 경쟁사의 인증 취득 등 외부적 요인을 뜻한다.

    투입요인은 인증 취득에 소요되는 투자비용, 시간, 인력 등의 자원뿐만 아니라 취득 절차의 난이도와 인증 유효기간의 길이 등으로 정의했다.

    조직요인은 기업 내 최고경영자와 관련된 사항으로, 국제 인증 취득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실행의 지와 관심, 필요한 인적ㆍ물적 자원의 지원, 전 직원의 이해도 및 참여도 제고를 위한 리더십 등을 포함한다.

    역량요인은 기업 내부 능력으로, 조직 규모와 더불어 국제 인증 취득에 필요한 가공설비ㆍ시스템과 관련 지식 보유 역량, 그리고 직원들 간 의사소통 및 협력 역량, 직원의 외국어 능력 등과 관련 있다.

    관계요인은 외부와의 의사소통 능력으로, 국제 인증과 관련된 기관, 기업, 정부, 단체 등과의 소통, 관계 능력, 즉 파트너십으로 정리할 수 있다.

    2.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사결정 분석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국제 인증을 취득ㆍ유지하고자 할 때 요인별 어떠한 세부 변수에 의해서 의사결정과정을 거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그리고 향후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시 기업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는 기업특성, 환경요인, 투입 요인, 조직요인, 역량요인, 관계요인의 6개 항목으로 각 항목당 5∼6개의 세부 변수로 구성하여 중요도를 평가했다.

    우선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소극적, 적극적으로 구분2)하여 목표변수로 설정했다. 설문조사에 응한 수산물 수출기업 전체 134명의 응답자 중 국제 인증 취득에 소극적인 그룹은 35명(26.1%), 적극적인 그룹은 99명(73.9%)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기업특성, 환경요인, 투입요인, 조직요인, 역량요인, 관계요인의 세부 변수들을 예측 변수로 설정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앞서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했듯이 CHAID, CART, QUEST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독립변수를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는 CART를 이용했다. CART는 의사결정나무 분석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불순도(impurity)의 측정 기준에 따라 지니지수(Gini index)를 이용하여 이지분리(binary split)를 한다. 따라서 개별 입력변수뿐만 아니라 입력변수들의 선형결합 중에서 최적의 분리를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춘화, 2018).

    본 연구의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는 불순도 향상기준을 0.0001로 설정하였는데, 이는 지니지수 변화량이 0.0001보다 큰 경우 하위 노드를 생성시키고, 작은 경우 분리를 정지한다. 또한 정지규칙은 최대 나무 깊이를 5수준으로, 부모마디 및 자식마디의 분리기준은 표본 수를 감안하여 각각 10과 2로 설정하고, 과적합 방지를 위한 가지치기를 병행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1) 기업특성

    기업특성 중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목표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예측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여기서 먼저 형성된 상위마디의 변수일수록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보다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결정하는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84.3% 로 나타나 분석 모형은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모형에서는 총 3단계의 기업특성 변수가 예측변수로 분리되었는데, 매출액, 종사자 수, 수출 비중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특성에 따라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예측할 때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매출액’(p=0.019)이었다. ‘매출액’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7.5억 원을 기준으로 매출액이 7.5억 원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이 16개 사(11.9%), 7.5억 원보다 큰 그룹(노드 2)이 118개 사(88.1%)로 나타났다. 노드 1의 경우 기업 수는 노드 2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전체의 100%가, 노드 2의 경우 70.3%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변수에서 7.5억 원보다 큰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종사자 수’(p=0.051)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5.5명을 기준으로 5.5명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3)은 9개 사(6.7%), 5.5명보다 많은 그룹(노드 4)은 109개 사(81.3%)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가 5.5명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88.9%가 국제 인증 취득ㆍ 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5.5명보다 큰 그룹은 75.2%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종사자 수’ 변수에서 5.5명보다 큰 그룹의 세 번째 분리변수는 ‘수출 비중’(p=0.030)으로 나타났다. ‘수출 비중’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6.0%를 기준으로 수출 비중이 6.0%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5)이 21개 사(15.7%), 6.0%보다 큰 그룹(노드 6)이 88개 사(65.7%)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이 6.0% 이하인 그룹 중 52.4%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6.0%보다 큰 그룹 중 81.8%가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기업특성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매출액’, ‘종사자 수’, ‘수출 비중’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며, 매출액 7.5억 이상, 종사자 수 5.5명 이상, 수출 비중 6.0% 초과인 경우 국제 인증 취 득ㆍ유지에 적극적인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극적 집단은 상대적으로 매출액과 종사자 수가 적고, 수출 비중이 낮은 분류 규칙을 보였다.

    2) 환경요인

    국제 인증 취득 요인 중 환경요인 속성에 속하는 수출상대국 규정, 해외 바이어 요구, 소비자 선호도, 글로벌 스탠다드, 글로벌 트렌드, 경쟁사의 인증 취득을 예측변수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목표변수로 설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분석 결과,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82.8%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요인 속성에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는 해외 바이어 요구, 소비자 선호도, 글로벌 스탠다드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환경요인 속성 중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해외 바이어 요구’(p=0.061)로 나타났다. ‘해외 바이어 요구’를 부모 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은 52개 사(38.8%)이며, 4.5보다 큰 그룹은 82개 사(61.2%)로 나타났다. 이 중 4.5보다 큰 그룹에서 87.8%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해외 바이어 요구’ 변수에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소비자 선호도’(p=0.018)로 나타났다. ‘소비자 선호도’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3)은 44개 사(32.8%), 4.5보다 큰 그룹(노드 4)은 8개 사(6.0%)로 나타났다. 이때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54.5%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4.5보다 큰 그룹은 87.5%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자 선호도’ 변수에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세 번째 분리변수는 ‘글로벌 스탠다드’(p=0.011)로 나타났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5)은 17개 사(12.7%), 3.5보다 큰 그룹(노드 6)은 27개 사(20.1%)로 나타났다. 이때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70.6%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3.5보다 큰 그룹은 55.6%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환경요인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해외 바이어 요구’, ‘소비자 선호도’, ‘글로벌 스탠다드’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며, 각 요인에 4.5점 이상(전체 5점)의 중요도를 인지한 기업들이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극적 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들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인지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였다.

    3) 투입요인

    국제 인증 취득 요인 중 투입요인 속성에 속하는 인증 취득 비용, 가공설비 투자 비용, 소요 시간, 투입 인력, 취득 난이도, 인증 유효기간을 예측변수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목표변수로 설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분석 결과,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79.1%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투입요인 속성에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는 인증 유효기간, 인증 취득 비용, 가공설비 투자 비용, 취득 난이도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투입요인 속성 중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인증 유효기간’(p=0.034)으로 나타났다. ‘인증 유효기간’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은 87개 사(64.9%)이며, 4.5보다 큰 그룹은 47개 사(35.1%)로 나타났다. 이 중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은 64.4%가, 4.5보다 큰 그룹은 91.5%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인증 유효기간’ 변수에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인증 취득 비용’(p=0.018)으로 나타났다. ‘인증 취득 비용’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3)은 26개 사(19.4%), 3.5보다 큰 그룹(노드 4)은 61개 사(45.5%)로 나타났다. 이때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53.8%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3.5보다 큰 그룹은 72.1%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증 취득 비용’ 변수에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세 번째 분리변수는 ‘가공설비 투자 비용’(p=0.011)로 나타났다. ‘가공설비 투자 비용’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 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5)은 21개 사(15.7%), 4.5보다 큰 그룹(노드 6)은 5개 사(3.7%)로 나타났다. 이때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61.9%가 국 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4.5보다 큰 그룹은 80.0%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공설비 투자 비용’ 변수에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네 번째 분리변수는 ‘취득 난이도’(p=0.013)로 나타났다. ‘취득 난이도’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2.5를 기준으로 2.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7)은 2개 사(1.5%), 2.5보다 큰 그룹(노드 8)은 19개 사(14.2%)로 나타났다. 이때 2.5보다 큰 그룹 중 68.4%가 국제 인증 취득ㆍ 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2.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은 2개 사 모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투입요인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인증 유효기간’, ‘인증 취득 비용’, ‘가공설비 투자 비용’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집단의 경우 인증 유효기간 중요도 4.5점 초과, 인증 취득 비용 중요도 3.5점 초과, 가공설비 투자 비용 중요도 4.5점 초과의 분류 규칙을 보였다. 소극적 집단의 경우 인증 유효기간, 인증 취득 비용, 가공설비 투자 비용 모두 중요도를 낮게 인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4) 조직요인

    국제 인증 취득 요인 중 조직요인 속성에 속하는 경영진의 결단력, 경영진의 지원, 경영진의 관심, 전담 인력 배치, 전 직원의 이해와 참여 유도를 예측변수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목표변수로 설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분석 결과,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80.6%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요인 속성에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는 경영진의 지원, 전담 인력 배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조직요인 속성 중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경영진의 지원’(p=0.061)으로 나타났다. ‘경영진의 지원’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은 21개 사(15.7%)이며, 3.5보다 큰 그룹은 113개 사(84.3%)로 나타났다. 이 중 3.5보다 큰 그룹에서 81.4%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경영진의 지원’ 변수에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전담 인력 배치’(p=0.015)로 나타났다. ‘전담 인력 배치’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3)은 19개 사(14.2%), 4.5보 다 큰 그룹(노드 4)은 2개 사(1.5%)로 나타났다. 이때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73.7%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4.5보다 큰 그룹은 2개 사 모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조직요인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경영진의 지원’, ‘전담 인력 배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집단은 경영진의 지원 중요도 3.5점 초과, 전담 인력 배치 중요도 4.5점 초과인 분류 규칙을 보여 국제 인증 취득에 대한 경영진의 지원과 전담 인력 배치의 중요도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역량요인

    국제 인증 취득 요인 중 역량요인 속성에 속하는 조직 규모,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 인증 관련 지식 역량,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 담당 직원의 외국어 역량을 예측변수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목표변수로 설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5>와 같다.

    분석 결과,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78.4%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역량요인 속성에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는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 조직 규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역량요인 속성 중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p=0.034)으로 나타났다.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4.5를 기준 으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은 87개 사(64.9%)이며, 4.5보다 큰 그룹은 47개 사(35.1%)로 나타났다. 이 중 4.5보다 큰 그룹에서 91.5%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 변수에서 4.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p=0.017)으로 나타났다.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을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3)은 24개 사(17.9%), 3.5보다 큰 그룹(노드 4)은 63개 사(47.0%)로 나타났다. 이때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54.2%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3.5보다 큰 그룹은 71.4%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 변수에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세 번째 분리변수는 ‘조직 규모’(p=0.021)로 나타났다. ‘조직 규모’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2.5를 기준으로 2.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5)은 4개 사(3.0%), 2.5보다 큰 그룹(노드 6)은 20개 사(14.9%)로 나타났다. 이때 2.5보다 작거나 같은 4개 사는 모두 국제 인증 취득 ㆍ유지 의향이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2.5보다 큰 그룹은 65.0%가 소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역량요인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 ‘조직 규모’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집단은 부서 간 상호협력 역량 중요도 4.5점 초과, 가공설비ㆍ시스템 역량 3.5점 초과, 조직 규모 2.5점 이상의 분류 규칙을 보여 상대적으로 기업 내의 역량이 중요한 것을 인지하는 특징을 보였다.

    6) 관계요인

    국제 인증 취득 요인 중 관계요인 속성에 속하는 컨설팅업체와의 긴밀한 관계, 인증기관과의 긴밀 한 관계, 정부와의 긴밀한 관계,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동종업계와의 긴밀한 관계를 예측변수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을 목표변수로 설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그림 6>과 같다.

    분석 결과,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79.1%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관계요인 속성에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수는 인증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상세히 살펴보면, 관계요인 속성 중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첫 번째 분리변수는 ‘인증기관과의 긴밀한 관계’(p=0.049)로 나타났다. ‘인증기관과의 긴밀한 관계’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노드 1)은 40개 사(29.9%)이며, 3.5보다 큰 그룹은 94개 사(70.1%)로 나타났다. 이 중 3.5보다 큰 그룹에서 84.0%가 적극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인증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변수에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의 두 번째 분리변수는 ‘수출지원기 관과의 긴밀한 관계’(p=0.021)로 나타났다.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를 부모마디에서 자식마디로 분류할 때 순수도가 증가하는 최소 분류기준을 수치화한 3.5를 기준으로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노드 3)은 27개 사(20.1%), 3.5보다 큰 그룹(노드 4)은 13개 사(9.7%)로 나타났다. 이때 3.5보다 작거나 같은 그룹 중 63.0%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이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3.5보다 큰 그룹은 76.9%가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 관계요인에 따른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향은 ‘인증기관과의 긴말한 관계’,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집단은 인증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중요도 3.5점 초과,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 3.5점 초과인 것으로 분석되어 인증기관과 수출지원 기관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Ⅴ. 결 론

    글로벌 식품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각국 정부와 소비자의 식품 안전 요구, 종교ㆍ문화, 지속 가능성, 친환경 등 다양한 특성에 대한 사회적 이슈는 꾸준히 증가하고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에서 수출되는 수산물이 글로벌 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국제 인증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제 인증은 국제적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해외 진출의 첫 관문으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국제 인증 취득 및 유지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을 분석하고, 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만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 국제 인증 취득 지원사업 수혜기업 및 수산식품 수출지원 플랫폼에 가입된 수산물 수출기업 1,041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응답한 134개 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수행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는 기업특성, 환경요인, 투입요인, 조직요인, 역량요인, 관계요인이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분류 규칙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에 적극적인 집단은 73.9%, 소극적인 집단은 26.1%로 적극적 집단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현재 대다수의 수산물 수출기업은 국제 인증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 수산물 수출기업이 국제 인증 취득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는 의사결정에는 기업의 규모적 측면(매출액, 종사자 수, 수출비중)이 1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산물 수출기업이 외연적으로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규모화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국제 인증 취득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이에 적극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환경적 측면에서 국제 인증 취득 의사결정은 해외 바이어 요구, 소비자 선호도, 글로벌 스탠다드 등 시장 선호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산물 수출기업이 수요자 중심의 환경 변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수요자 중심의 시장 변화는 기업으로 하여금 국제 인증 취득을 통한 신뢰성 확보와 시장 접근성 강화를 촉진하는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투입 측면에서는 인증 유효기간, 취득비용, 가공설비 투자비용, 취득 난이도가 인증 취득ㆍ유지의 사결정에 주요 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인증 취득 또는 유지를 결정할 때 비용과 시간, 노력에 대한 중요도에 따라 의사결정이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조직 측면에서는 경영진의 강한 의지와 전담 인력의 배치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내 경영진이 국제 인증의 중요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인증 취득ㆍ 유지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담 인력 등 조직적인 구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역량 측면에서는 부서 간 상호협력, 가공설비 시스템 역량, 조직 규모가 주요 변수로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된 부서 간의 협력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할 적합한 하드웨어적 시스템 역량 및 조직 규모가 중요함을 나타낸다.

    관계 측면에서는 인증기관 및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사결정과 정에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인증 절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필요한 자원을 적시에 지원받기 위해 관련 기관과의 강력한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수산물 수출기업들이 국제 인증을 취득하고 유지하는 의사결정 시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 준다. 다시 말해, 해외시장 진출 과정에서 매출액 등 기업 규모가 확대되며 해외 바이어와 소비자 등의 요구에 따라 외부 환경적으로 인증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실질적인 인증 도입 단계에서는 인증 유효기간, 취득 비용 등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게 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적 역량을 강화하고, 취득하는 과정에서 인증기관 등 주요 지원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의사결정을 진행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기업의 매출액, 종사자 수, 수출 비중이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사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 한다는 결과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인증 취득 여건의 차이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인증 취득 비용 지원, 교육 프로그램, 기술 지원 정책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해외 바이어 요구와 소비자 선호도 등 시장 요구를 반영한 인증 취득이 중요하므로 시장 트렌드 데이터 등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ㆍ공유하고, 기업이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인증기관 및 수출지원기관과의 긴밀한 관계가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기업이 인증 취득ㆍ유지 과정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 네트워크 체계를 확충해야 한다.

    다음으로 기업 경영에 대한 실질적 제언으로는 첫째, 경영진의 지원과 전담 인력 배치가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의사결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기업 내부적으로 국제 인증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국제 인증 전담 조직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부서 간 협력과 가공설비 역량 등 조직 내부의 역량 강화를 위해 직원 교육 및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설비와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 셋째, 국제 인증과 관련된 외부 기관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파트너십 구축 활동과 국내외 네트워크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수산물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국제 인증을 취득 또는 유지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고, 세부 변수별 중요도를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다만, 제한된 표본 수에 의한 대표성 문제와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있어 각 요인에서 변수 간의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작용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 국제 인증 취득 지원사업 수혜기업 및 수산식품 수출지원 플랫폼에 가입되어 있는 수산물 수출기업 1,041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최종적으로 134개 사만이 설문에 응답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므로 표본 수가 모수에 비해 적어 결과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후속 연구에서는 더 많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확대하여 연구 결과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s

    FBA-56-1-19_F1.gif
    기업특성 분석 결과
    FBA-56-1-19_F2.gif
    환경요인 분석 결과
    FBA-56-1-19_F3.gif
    투입요인 분석 결과
    FBA-56-1-19_F4.gif
    조직요인 분석 결과
    FBA-56-1-19_F5.gif
    역량요인 분석 결과
    FBA-56-1-19_F6.gif
    관계요인 분석 결과

    Tables

    의사결정나무의 구성요소 및 의사결정나무 모형의 예시
    자료: 최종후ㆍ서두성(1999), 김동일 외(2008)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절차
    자료: 최종후ㆍ소선하(2005)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대표적인 알고리즘 비교
    자료: 선행연구 토대로 재구성
    조사 개요
    응답 업체의 일반적 특성
    국제 인증 취득ㆍ유지 요인

    References

    1. 김구 ( 2002), “지방행정기관에 있어서 조직정치의 지각이 직무성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의사결정나무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3(2).
    2. 김동일ㆍ홍성두ㆍ이기정 ( 2008), “교사판단 기반 학습장애 위험군의 핵심요인 탐색과 모형평가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6(3).
    3. 김 윤서 ( 2022),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적용한 외식업 자영업자와 소비자의 대체육 결정요인”,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4. 김 정수 ( 2009),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근로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김 창봉 ( 2013), “식품산업의 글로벌 인증과 파트너십, 식품품질관리, 고객관계관리 간의 영향관계가 기업의 사업성과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4).
    6. 박 계호 ( 2001), “KS표시인증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7. 박준호ㆍ김태호ㆍ주용진 ( 2011),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벤처기업의 공간적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 회지, 45(4).
    8. 배 정수 ( 2014),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결정요인 우선순위 탐구”,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9. 백 지연 ( 2020), “벤처캐피탈리스트 개인특성과 투자의사결정 기준”,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10. 유은영ㆍ진현정 ( 2014),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 그룹 분석”, 한국소비자학회, 25(6).
    11. 이 민아 ( 2020),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공무원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예측모형”,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 대학원.
    12. 이 용하 ( 2010),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생들의 신체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13. 이 주환 ( 2015), “FTA시대의 KS인증시스템이 중소기업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4. 이 춘화 ( 2018), “직장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장유형과 근무형태에 따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5. 이 훈영 ( 2008), “이훈영 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16. 임은정ㆍ김성진ㆍ신현욱 ( 2013),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연구”, 장애와 고용, 23(1).
    17. 임은정ㆍ정순희 ( 2015),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8(4).
    18. 정 진영 ( 2016),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의 국제인증과 사업성과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 조 장식 ( 2010),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1(4).
    20. 주문배ㆍ이헌동 ( 2011),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산식품 정부인증제도 개선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1. 최종후ㆍ서두성 ( 1999),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연구, 4(1).
    22. 최종후ㆍ소선하 ( 2005), “사례로 배우는 데이터마이닝”.
    23. 하 세근 ( 2011), “중소 수출기업의 경영환경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한 경동 ( 2011), “ISO 9001:2008 품질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이 지속적 개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황 진수 ( 2005), “의사결정나무분석방법을 이용한 방한 일본인 쇼핑관광객의 상품구매행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6. 황 혜영 ( 2017), “중소기업의 내부역량과 정부지원제도가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립부경대학교.
    27. Walter, A., Auer, M. and Ritter, T. ( 2006), “The impact of network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university spin-off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1(4), 541-567.
    28. Brown, M. E. and Trevino, L. K. ( 2006), “Ethical leadership: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The Leadership Quarterly, 17(6), 595-616.
    29. Knight, G. A. and Cavusgil, S. T. ( 2004), “Innovatio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nd the born-global firm”,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5(2), 124-141.